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알록달록동그라미417
알록달록동그라미41723.03.31

삼강오륜이라고 하는 것은 조선시대 어느시기에 왜 나타났나요?

초등학교 다니는 딸이 어제 갑자기 조선시대 삼강오륜이라는 것에 대해 질문을 하였습니다.

책으로도 만들어졌다는 기억은 어렴풋이 남아있는데

이 삼강오륜이라고 하는 것은 조선시대 어느시기에 왜 나타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31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삼강오륜은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다섯 가지의 도리를 말합니다.

    삼강은 임금과 신하(君爲臣綱), 어버이와 자식(父爲子綱), 남편과 아내(夫爲婦綱)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말한다.

    1431년(세종 13) 집현전 부제학 설순(偰循) 등이 왕명에 따라 삼강의 모범이 될 만한 충신·효자·열녀를 각각 35명씩 모두 105명을 뽑아 그 행적을 그림과 글로 칭송하는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편찬하였다. 이 책은 1481년 한글로 번역되어 간행되었고, 그 뒤 1511년(중종 6)과 명종·선조·영조 때 각각 중간되어 도덕서(道德書)로 활용되었다.

    오륜은 오상(五常) 또는 오전(五典)이라고도 하며 『맹자』에 나오는 말이다. 즉, “부모는 자녀에게 인자하고 자녀는 부모에게 존경과 섬김을 다하며(父子有親), 임금과 신하의 도리는 의리에 있고(君臣有義), 남편과 아내는 분별 있게 각기 자기의 본분을 다하고(夫婦有別),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하며(長幼有序), 친구 사이에는 신의를 지켜야 한다(朋友有信)”는 내용이다.

    ※ 삼강
    1. 군위신강(임금과 신하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2. 부위자강(어버이와 자식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3. 부위부강(남편과 아내 사이에 지켜야 할 도리)

    ※ 오륜
    1. 군신유의(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로움이 있어야 함.)
    2. 부자유친(어버이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함.)
    3. 부부유별(부부 사이에는 구별이 있어야 함.)
    4. 장유유서(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함.)
    5. 붕우유신(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함.)

    삼강오륜을 비롯한 유교의 전통은 오늘날까지 우리나라에 이어져오고 있어요. 오늘날에도 가문의 풍습 이어가기, 웃어른 공경하기, 부모님께 효도하기, 조상 섬기기 등은 우리나라의 미풍양속으로 남아 있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삼강오륜 [三綱五倫] (천재학습백과 초등 사회 용어사전)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초기나타난 삼강오륜 정신은 다양한 사상적 신념과 제도가 존재했던 상황에서, 정치적인 안정과 사회적인 조화를 위해 삼강오륜이 강조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삼강오륜은 중국 전한(前漢) 때의 거유(巨儒) 동중서(董仲舒)가 공맹(孔孟)의 교리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설(三綱五常說)을 논한 데서 유래되어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과거 오랫동안 사회의 기본적 윤리로 존중되어 왔으며, 지금도 일상생활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윤리 도덕이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은 1431년(세종 13) 세종(世宗, 재위 1418~1450)의 지시에 따라 집현전(集賢殿)에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를 편찬했다. 『삼강행실도』의 서문(序文)에는 삼강이 경륜(經綸)의 큰 법이 되고,

    모든 교화의 근본이며 원천이 된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 조선은 세종(1431년)의 지시에 따라 집현전에서 「삼강행실도」를 편찬하고, 정조(1797년)는

    「삼강행실도」와 기존에 간행되었던 「이륜행실도」를 함께 편집해 「오륜행실도」를 제작했습니다. 이것은 조선이 건국 초기부터 삼강오륜으로 대표되는 인간 사이의 역할과 윤리적 의무를 중시하는 사회상을 만들고자 했다는 것을 반영합니다.

    삼강오륜은 세 가지의 강령과 다섯 가지의 도리입니다.

    <삼강>

    1)군위신강: 임금과 신하 사이에 지켜야 할 도리.

    2)부위자강: 어버이와 자식 사이에 지켜야 할 도리.

    3)부위부강: 남편과 아내 사이에 지켜야 할 도리.

    <오륜>

    1)군신유의: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로움이 있어야 함.

    2)부자유친: 어버이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함.

    3)부부유별: 부부 사이에 구별이 있어야 함.

    4)장유유서: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함.

    5)붕우유신: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함.

    우리나라의 미풍양속이지만 현대에서는

    이런 것을 먼저 주장하면 라떼로 비칠 수 있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 오륜이 조선 시대에 기록으로 나타난 시기는 1431년(세종 13년) 집현전 부 제학 설순(偰循) 등이 왕명에 따라 삼강의 모범이 될 만한 충신·효자·열녀를 각각 35명씩 모두 105명을 뽑아 그 행적을 그림과 글로 칭송하는 『삼강 행실도(三綱行實圖)』를 편찬하였고 이 책은 1481년 한글로 번역되어 간행되었고, 그 뒤 1511년(중종 6)과 명종·선조·영조 때 각각 중간되어 도덕서(道德書)로 활용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오륜은 정확하게 언제 만들어졌는지 아직까지도 의견이 분분합니다.

    공자가 만들었다는 설도 있고 한나라 시절에 만들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뜻은 거의 변하지 않고 인간의 기본 적인 도덕은 설명하는것은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삼강오륜을 바탕으로 하는 유교적인 윤리 교육을 통해 도덕적인 사회를 만들려 하였습니다.

    조선은 1413년 세종의 지시에 따라 집현전에서 삼강행실도를 편찬했습니다.

    조선이 건국 초기부터 삼강오륜으로 대표되는 인간 사이의 역할과 윤리적 의무를 중시하는 사회상을 만들고자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오륜"이란, 중국의 수호신 5개의 별자리를 의미합니다. 이 별자리는 북반구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육성별(北斗七星)과 함께 중국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의 전통 천문학과 점성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삼강오륜"의 기원은 중국의 전통 점성술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 별자리는 인간의 운세와 일상생활에서의 교통 안전, 가정 안전, 사업 번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 별자리가 나타난 이유는, 중국인들이 자연의 현상을 관찰하고, 이를 적용하여 인간의 운명과 사회적 현상을 이해하려는 노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삼강오륜"은 중국인들이 오랫동안 사용해온 천체 관측 지식의 산물이며, 중국의 전통 문화와 철학, 과학 기술의 중요한 유산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