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계좌 개별주 장기투자 방법에 대해
작년부터 ISA 서만형 계좌로 투자중인데
ETF가 아닌 개별주식 투자를 했고 꽤 성과가 좋습니다
3년 채우고 팔고싶지않고 장기로 끌고 가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한승민 보험전문가입니다.
ISA 계좌는 3년이 지났다고 해서 꼭 팔아야 하는 건 아닙니다. 3년 이후에 기간을 연장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ISA는 3년 이상이 의무 가입기간이고요. 이 의무가입기간 이후에는 해지 없이 계속 운용이 가능합니다. 만기 후에도 계좌를 해지하지 않고 계속 보유하면 기존 투자 자산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추가 투자가 가능한데요. 만기 이후에도 계좌를 해지하지 않으면 기존에 발생한 수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도 유지되고요. 단 이후에 발생하는 수익은 과세 대상이 되기 때문에 운용방식에서 주의를 요합니다. 장기 보유시 배당 수익이 누적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배당을 지속적으로 늘리는 기업에 투자하면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고요. 부채비율이 낮고 현금흐름이 안정적인 기업은 경기 변동에도 버틸 수 있어 장기투자에 적합하고요. 장기적으로 성장가능성이 높은 사업이 속한 기업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고요. 포트폴리오는 연 1~2회 점검해서 실적 악화나 산업 변화에 따라 종목을 교체하거나 비중을 조절해야 하고요.
손익통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손실종목을 매도해 손익을 상쇄하고 다시 저가에 재매수하는 전략을 고려해볼 수 있고요. ISA 비과세한도는 현행 서민형이 400만원까지인데요. 앞으로 1000만원까지 상향을 검토한다고 이는 좀 더 지켜봐야 합니다. 확정되기 전까지는 400만원 한도 넘기지 않도록 하구요. 1000만원이 된다면 1000만원을 넘기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해지를 한다면 수익이 적을 때에 해야 합니다. ISA는 만기 때 개인형 퇴직연금 IRP와 연금저축보험에 나누어서 분산해서 불려서 갖고 갈 수 있기 때문에 이득이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ISA 서민형 3년 기준은 의무가입 기간입니다.
만기는 연장신청만 잘 하시고, 서민형 기준만 넘어가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유지가 가능합니다.
더불어 고배당주 위주로 투자는 어떠신지요?
질문자님이 갖고계신 서민형이라면 400만원까지 전액 비과세 처리되고 한도 초과부분에 대해서도 15.4%배당소득세가 아닌 9.9% 분리과세가 해당하니까요. (연간)
안녕하세요. 정탁준 보험전문가입니다.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기본적으로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혜택이 주어지는 절세형 계좌입니다. 질문자님처럼 서민형 ISA 계좌를 통해 개별주식에 투자하고 있고, 성과도 좋은 상황에서 3년 만기 이후에도 주식을 매도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계속 보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몇 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가장 현실적이고 유리한 방법은 ISA 계좌의 만기를 연장하는 것입니다. ISA 계좌는 최초 가입 후 3년이 지나면 만기가 도래하지만, 이 시점에서 해지를 하지 않고 최대 5년까지 추가 연장이 가능합니다. 연장을 선택하면 현재 보유 중인 개별주식들을 매도하지 않아도 되고, 계좌 내에서 계속 보유 및 운용이 가능하며 절세 혜택도 유지됩니다.
또한 만기 시점에서 계좌를 해지하더라도, ISA 내 자산을 반드시 현금화할 필요는 없습니다. 해지 시점의 평가 금액을 기준으로 과세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해지 후에도 해당 주식을 일반 증권계좌로 이전한 뒤 계속 보유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해지 이후의 수익에 대해서는 일반 과세가 적용됩니다.
즉, 3년 만기 이후에도 절세 혜택을 유지하면서 장기 보유를 원하신다면, 계좌를 해지하지 않고 만기를 연장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이를 통해 주식을 계속 보유하면서도 ISA의 비과세 혜택을 더 오래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서민형 ISA는 연간 납입한도와 추가 납입 여부에 제한이 있으므로, 향후 자금 운용 계획과 함께 신중하게 판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