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은 산소가 어느정도 용해되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혈액속 헤모글로빈이 있어서 산소를 능동적으로 받아들일수 있다고 하는데요~ 물 100ml에 산소는 0.3ml정도 된다고 하더라구요~ 그러면 혈액은 산소가 어느정도 용해되어 있을까요?
혈액 속에 물처럼 직접 용해된 산소는 약 0.3ml/100ml로 물과 비슷하지만,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운반하며 총 약 20ml/100ml의 산소를 포함하게 됩니다. 용해된 산소는 전체 산소량의 약 1~2%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상태로 운반됩니다.
혈액에 용해된 산소의 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첫째, 혈장의 액체 부분에 용해된 산소이고, 둘째는 적혈구 내의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산소입니다.
그리고 매우 적은 양의 산소만이 혈장에 직접 용해되는데, 정상적인 상태에서 혈장의 산소 농도는 약 0.3mLO^2/100 mL 혈액입니다. 즉, 100ml에 0.3ml의 산소가 용해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산소는 적혈구 내의 헤모글로빈과 결합되어 운반됩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헤모글로빈 1g 당 약 1.34 mL의 산소가 결합할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정상적인 성인의 혈액 100mL당 약 20 mL의 산소가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혈액은 동일한 양의 경우에 물보다 약 60배나 많은 양의 산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이유는 혈액의 적혈구에 들어있는 헤모글로빈이라고 하는 4차 구조의 단백질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순수한 물에서 산소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보면 0도에서 14 ppm, 20도에서 9 ppm 정도가 용해되어 있고, 온도가 올라갈 수록 산소의 용해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우리가 흡기를 통해 폐로 들이마신 산소는 20 mL/1백 mL의 산소를 운반하며, 이중에서 0.3 mL만이 폐의 혈액에 녹아있고, 나머지는 헤모글로빈과 결합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보통 동맥혈을 기준으로 말하는데 전체포화농도대비 약 95~100%산소가 녹아있습니다. 수치적으로는 약 100ml당 20ml정도가 녹아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동맥혈의경우 일반적으로 리터당 200ml부피의 산소가 녹아있습니다. 이는 혈장에녹은것과 헤모글로빈과 결합한 수치를 합친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혈액 속에서 산소는 주로 헤모글로빈에 결합하여 운반되는데요
약 1.5% 혈장에 용해되어 잇어요
일반적으로 100ml당 혈액 0.3ml 정도 산소가 용해되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혈액에 용해된 산소의 양은 헤모글로빈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량에 비해 매우 적습니다. 물 100ml에 약 0.3ml의 산소가 용해되는 것과 비슷하게, 혈액 내에서 단순히 용해된 산소의 양은 전체 산소 운반량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혈액 내 산소의 대부분은 적혈구 내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형태로 운반되며, 용해된 산소는 전체 산소 운반량의 약 1.5% 정도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헤모글로빈이 산소 운반에 있어서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