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럭셔리한페리카나150
럭셔리한페리카나150

유전자 조작 식품은 정말 건강에 해로울까요?

유전자 조작 식품이 인간의 몸에 해를 끼친다는 주장도 있고, 안전하다는 연구도 있는데,

실제로 과학적, 의학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주는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전자 조작 식품(GMO)은 오랜 기간 동안 논란이 되어온 주제이지만, 현대 과학계에서는 대부분의 GMO 식품이 안전하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유전자 조작 식품(GMO)은 특정 유전자를 의도적으로 삽입하거나 제거하여, 식물이 해충에 강하거나, 병에 저항성이 있거나, 영양소가 강화된 특징을 갖도록 만든 식품인데요, Bt옥수수는 해충이 먹으면 죽도록 하는 단백질 유전자 삽입했으며 황금쌀(Golden Rice)는 비타민 A 전구체인 β-카로틴이 풍부하도록 조작한 것입니다. 세계보건기구인 WHO에서는 현재까지 상용화된 GMO 식품은 건강에 해롭다는 과학적 증거가 없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미국 식품의약국에서도 GMO 식품은 일반 식품과 동등한 안전성을 가진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즉, 현재까지 시판 중인 GMO 식품은 과학적으로 ‘안전하다’는 것이 주류 학계의 결론입니다. 이러한 유전자 조작 식품이 건강에 해롭다고 주장하는 측에서는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을 제기하는데요, 새로운 단백질이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는 있으나, GMO는 상용화 전 반드시 알레르기 검사를 거칩니다. 또한 유전자를 삽입하면 다른 유전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 그러나 정밀한 분자 생물학 기술과 후속 평가로 위험성은 크게 낮춰지게 됩니다.

    1명 평가
  • 현재까지 과학계의 일반적인 합의는 시중에 유통되도록 승인된 유전자 조작 식품이 인체에 해롭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다는 것입니다. 지난 수십 년간 전 세계적으로 소비되어 왔지만, 유전자 조작 기술 자체가 원인이 되어 인체에 질병이나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는 과학적, 의학적 사례는 보고된 바 없습니다. 일부 연구에서 유해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으나, 해당 연구들은 방법론적 오류 등으로 인해 과학계 전반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따라서 현재의 규제 체계를 통과한 유전자 조작 식품은 기존 식품과 동등한 수준의 안전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

    유전자 조작의 경우에 인체에 위해가 될 수 있는 요인이 발생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인체에 안전한 식품들이 대부분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

    제 주위에서도 유전자 조작 식품(GMO)를 믿지 못하고 일부러 안 먹는 분들도 꽤 있더라구요.

    GMO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이 나오는 이유는

    개발이 되고나서 시장에 도입된 기간이 생각보다 오래되진 않아서

    장기적인 영향성에 대해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음으로,

    지금은 괜찮다고 하는데 앞으로도 계속 좋을 것이라는 보장을 못하기에 나오는 이슈들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앞으로도 수십년, 수백년 간 계속해서 확인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부정적인 의견들은 보통 GMO에서 기존에 없던 새로운 단백질을 만들어 내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거나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모르는 물질들이 나올 수 있다는 불안감들로 나타나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상황이지만

    대부분의 연구결과나 세계보건기구(WHO),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식품안전청(EFSA) 등에서는

    아직까지는 상업적으로 승인된 GMO식품에서 특별히 해롭다는 과학적 근거는 없다고 결론을 내었습니다.

    안전을 가장 유심있게 보는 세계보건기구들에서 꾸준하게 평가하고 엄격한 절차를 거치고

    우리나라의 식약처도 국제기관에 못지 않은 기준과 절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상업적으로 승인되어 판매되는 식품(GMO표시, 인증표시 등이 있는 제품)이라면

    안전 걱정 없이 드셔도 괜찮을 것 같다는 의견입니다.

  • 사실 상당히 복잡하면서도 민감한 부분입니다.

    왜냐하면 과학계 내에서도 서로 다른 주장을 내놓고 있지만, 정부 기관, 소비자 단체 등 과학계 외 다양한 단체들이 각기 다른 입장을 내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과학적으로나 의학적으로 명확하게 입증된 GMO 식품 자체의 섭취가 인간에게 직접적인 질병이나 해를 끼친 사례는 없습니다.

    하지만 GMO의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서는여전히 연구가 진행 중이며, 특히 환경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GMO에 대해 과학적으로는 '현재까지 안전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절대적으로 무해하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십수년 또는 몇 세대가 지난 후 그 영향이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여전히 국내에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입니다.

    실제로 과학적 입장에서는 GMO 식품은 인체에 해로운 영향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미, 수백 건에 이르는 연구 결과와 유통 중인 식품은 해롭지 않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다만, 우려와 논란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장기적"인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자료가 축적되지 않았으며, 간접적 영향(제초제의 독성 등)에 따른 부분도 아직 고려된 바가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문제는 없으나 여전히 장기적으로 해결해야하는 숙제가 있이 현 GMO 식품의 단계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