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가루 음식을 너무 좋아하는데 한의원에서 밀가루음식을 먹지말라는 이유?
안녕하세요 제가 밀가루 음식을 좋아하는편인데 한약먹을때 밀가루 음식을 먹지말라고 되도록 적게 먹으라고 하는데 이유가 있을까요
한약을 복용할 때 밀가루 음식을 섭취하지 않거나 적게 먹도록 권장하는 것은 평소 소화력 및 흡수력이 저하된 경우에 해당하는 말입니다. 소화기능이 좋지못한 상태에서 밀가루와 같이 소화가 잘되지 않은 음식을 먹으면 한약의 흡수율도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평소 소화력에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드셔도 괜찮겠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밀가루음식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오늘날 비만 인구가 자꾸 늘어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밀가루에 있습니다. 밀가루가 주식인 서양인이 쌀을 주로 먹는 아시아인에 비해 비만인 경우가 월등히 많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똑같은 곡물인데 밀이 쌀보다 나쁜 이유는 ‘글루텐’이라는 성분에 있습니다. 글루텐은 밀의 주요 단백질인데. 탄력성이 있어 밀가루 반죽을 쫄깃하게 하고 빵을 가볍고 폭신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맛은 좋게 만들지만 글루텐은 그 자체가 문제다. 미국에서는 이미 ‘글루텐 불내증’이 심각한 건강 문제로 꼽히고 있다. 불내증은 영양분이 체내로 들어갈 때 우리 몸이 이를 흡수하지 못하고 거부하는 반응이다. 전 세계 인구 중 1%가 글루텐에 내성이 없다고 알려져 있는데, 특히 우리나라 사람은 글루텐을 분해하고 흡수하는 효소가 적어 더욱 심각합니딘
글루텐 불내증에 걸리면 건강을 위협하는 수많은 문제가 나타나는데. 신체의 다른 부위와 대변을 분리시키는 민감한 벽이 망가지고 설사, 복통, 복부 팽만, 변비 등의 소화 기능 장애도 나타난다. 또한 영양소를 흡수하지 못하고 체중이 빠지면서 단백질과 지방산, 비타민 같은 영양소 결핍 증세도 생긴다. 소화기능 장애는 시작일 뿐 신경계, 근골격계, 면역계, 관절, 치아를 비롯해 행동과 기분에 이르기까지 악영향을 끼친다.
우리가 먹는 밀이 유전자 조작으로 탄생한 것이라는 점도 문제 요소다. 오늘날의 밀은 우리 조상들이 먹던 밀과 다르다. 지난 50년간 밀은 가뭄, 병충해 등 불리한 환경 조건에 견디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여러 차례 품종 변형을 거쳐왔다. 모양도 맛도 그대로인 것 같아도 1백 년 전의 밀과 지금의 밀은 생화학적인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밀은 인간이 섭취하기에 적합한지 한 치의 의심도 없이 식품의 형태로 전 세계에 공급되고 있다. 따라서 어떤 잡종 밀이 원래의 밀과 다른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알아낼 길도 요원하다. 그러나 정확한 근거가 없더라도 수천 가지 조작으로 만든 유전적 차이는 성분, 외양, 질적인 면에서 우리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상당한 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좋지않습니다.한약을 드실때 밀가루음식을 많이 드시면 장상태가 안좋아서 한약의 흡수에 문제가 생깁니다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한약을 먹을 때 특정 음식을 조심하라는 것은 그 음식이 한약의 효과를 반감시키거나 흡수율을 낮추기 때문입니다. 밀가루는 한약의 흡수를 방해하고, 장 과민성인 사람에겐 소화불량, 복부팽만감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