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심심한박새218
심심한박새21822.09.25

혈액을 받을 때 같은 혈액형끼리 받아야 하는 이유?

수술을 하거나 사고로 피가 부족할 때 다른 이의 피를 받아서

살 수 있다고 하는데 그 중에서도 같은 혈액형인 사람의 피만 받을 수 있는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25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에는 항체와 항원이 있는데 서로다른 성질이다른 항원과 항체가 만나면 혈액에 덩어리가 만들어져 이덩어리가 혈관을 막아 사망에 이를수 있습니다. 하여 혈액형을 구분하는 것이고, 수혈 할 때는 반드시 동일 성질의 혈액끼리 수혈을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에는 혈액형을 나타내는 혈구의 항원도존재하지만 이 항원과결합하는 항체도 존재합니다.


    예를들어 a형 혈구와 b형의 항체가 함께있습니다.

    따라서 a형에 b형의 혈액을 주입하면 항원항체반응이 일어나서 피의 응고가 시작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몸은 항상성을 지키기위해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킨답니다.


    항원은 병균으로 생각하시고 항체는 병균을 죽이는 역할을 하죠.


    그런데, 우리몸에 다른 혈액형의 적혈구가 들어오면 이 것을 항원으로 판단하고 우리 몸은 모두 없애려고 하지요. 그래서 그렇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 별 응집원(적혈구 표면에 있는 항원), 응집소(혈청에 존재하는 항체)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응집원과 응집소가 같으면 응집(덩어리 짐, 굳음)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A형에는 응집원 α, 응집소 β

    B형에는 응집원 β, 응집소 α

    O형에는 응집원 없음, 응집소 α와 β

    AB형에는 응집원 (α, β), 응집소 없음.

    즉, A형 사람에게 B형의 피를 수혈하면 A형의 응집소 β가 수혈로 들어온 B형 피의 응집원 β를 공격(응집 시킴, 굳게 만듦)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O형은 응집원이 없기 때문에 모든 혈액형에게 수혈이 가능합니다. 또한 AB형은 모든 혈액형으로부터 수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o형 빼고는 다른 혈액형에는 모두 응집원이 있어 다른 혈액형끼리 섞이면 적혈구가 응집하게 됩니다.

    응집한 적혈구는 모세혈관에 막히면서 피가 통하지 않아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혈액형 수혈은 안되고 한다면 같은 혈액형이나 o형 혈액을 수혈해야 합니다.


  • 혈액형을 알아두는 것은 수혈을 할 때 매우 중요합니다.
    AB형 혈액형은 AB, A, B, O형 모두 수혈을 받을 수 있고
    O형 혈액형은 모든 혈액형에게 피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A나 B는 같은 A나 B 또는 O형에게만 수혈을 받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상대방 혈액형의 항체가 항원을 파괴하고

    해당 혈액형의 피를 응집시키게 되어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피속에 있는 항체 반응 때문입니다.

    피에는 적혈구 항체 등이 있는데 다른 혈액형을 수혈 받게되면 항체가 반응하여 피끼리 응고되는 현상이 있어 사람은 죽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