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완벽히눈부신칠면조
완벽히눈부신칠면조

감각을 구별하는 원리가 궁금해요(신경전달물질)

사람은 감각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단맛 짠맛 서로다른 냄세등) 여기서 궁금한 점은 각각의 감각에 대해 1대 1로 대응하는 신경전달물질이 존재하나요? 예를 들어 단맛은 a라는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뇌로 전달되고 신맛은 b라는 신경전달물질, 빵냄세는 c라는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전달되나요?

제가 아는 신경전달물질이 아세틸콜린,노르에피네프린 gaba,글루탐산등 양이 그렇게 많지 않아 사람이 어떻게 저 많은 양의 감각을 구별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사람이 다양한 감각을 구별하는 원리는 매우 복잡하고, 신경전달물질이 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감각을 구별하는 데에는 "1대 1 대응"하는 신경전달물질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신, 감각 정보는 특정한 경로와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뇌로 전달되며, 이 과정에서 여러 신경전달물질이 관여합니다. 우선 감각을 구별하는 첫 번째 단계는 감각 수용기입니다. 예를 들어, 혀의 미뢰에는 단맛, 신맛, 짠맛, 쓴맛, 감칠맛에 반응하는 각각의 수용기 세포가 있습니다. 냄새의 경우에는 후각 수용기가 특정한 분자(냄새 분자)에 반응합니다. 이러한 수용기 세포는 특정 자극에 대해 특이적인 반응을 보입니다. 수용기 세포는 특정 감각 자극을 받아들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데요, 예를 들어, 단맛을 감지하는 수용기는 단맛 분자를 감지하면 그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합니다.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감각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됩니다. 이 과정에서 신경전달물질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경전달물질은 감각 수용기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다음 신경세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특정 감각 자극에만 반응하는 특정 신경전달물질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인 신경전달물질(예: 아세틸콜린, 글루탐산 등)이 다양한 감각 자극에 대한 신호 전달에 사용됩니다. 이때 뇌는 각 감각 경로를 통해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받아 해석합니다. 각 감각 경로는 뇌의 특정 영역으로 연결되며, 그곳에서 신호가 처리되어 우리가 경험하는 특정 감각으로 변환됩니다. 예를 들어, 후각 신호는 후각 피질에서, 미각 신호는 미각 피질에서 처리됩니다. 결론적으로, 사람의 감각 구별 능력은 신경전달물질의 수와 종류보다는, 감각 수용기, 신경 경로, 뇌의 처리 과정에서 비롯됩니다.

    1명 평가
  • 감각을 구별하는 원리는 각각의 감각에 대해 특정한 신경전달물질이 대응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감각의 구별은 수용체와 신경 경로의 차이에 의해 이루어지며, 신경전달물질은 주로 신호 전달의 매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단맛, 신맛, 짠맛 등은 각각의 맛 수용체가 활성화되면서 특정 신경 세포를 자극하고, 그 신호가 뇌로 전달되어 감각이 인식됩니다. 이 과정에서 아세틸콜린, 글루탐산 등의 신경전달물질은 일반적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각각의 감각에 대해 고유의 신경전달물질이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감각의 구별은 수용체의 종류와 신경 회로의 특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복잡한 과정입니다.

    1명 평가
  • 간단히 말씀드리면, 각각의 감각에 1대1로 대응하는 특정 신경전달물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우리 뇌는 매우 복잡한 신경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감각이 뇌에 전달될 때 다양한 종류의 신경세포와 신경전달물질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단순히 하나의 신경전달물질만이 감각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신경전달물질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특정 감각 패턴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또한 각각의 감각기관에는 다양한 종류의 수용체가 존재하며, 이 수용체들은 특정 자극에만 반응합니다. 예를 들어, 혀에는 단맛, 짠맛, 쓴맛 등을 감지하는 다양한 수용체가 분포되어 있어 이러한 수용체들이 활성화되면, 다양한 신경세포를 자극하고, 이 신경세포들이 다시 다른 신경세포를 자극하는 연쇄반응이 일어나면서 뇌에 복잡한 신호를 전달합니다.

    게다가 뇌는 단순히 감각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이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여 우리가 인지하는 감각을 만들어냅니다. 즉, 같은 신호라도 뇌의 상태나 과거 경험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다양한 감각을 구별할 수 있는 이유는 각각의 감각 정보는 뇌의 특정 부위로 전달되며, 이 부위에서 특정한 신경회로가 활성화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시각 정보는 후두엽, 청각 정보는 측두엽으로 전달되고 이러한 특이적인 신경회로를 통해 뇌는 각각의 감각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이죠.

    결론적으로, 사람이 다양한 감각을 구별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며, 단순히 하나의 신경전달물질로 설명될 수 없습니다. 다양한 신경세포, 신경전달물질, 신경회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세상을 인지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