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조그만기러기69
조그만기러기69

입금체불 신고 보험,세금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4개월간하다가 주휴수당과 최저시급을 받지 못해 입금체불로 신고를 하려합니다.

시급을 8000원에 주휴수당없이 근무하였는데,

세금이나 보험등은 생각하지 않고 요구해도 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기본적으로 근로자가 주장할 체불 임금 등은 각종 세금 공제 전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

      임금은 세전으로 계산하지 때문에 세금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여 체불액을 신고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차호재 노무사입니다.


      4주평균하여 1주 15시간 이상 근로한 근로자를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세금이나 4대보험으로 나가는 금액보다, 체불된 임금을 받는것이 낫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최저임금 위반 및 주휴수당 미지급으로 신고 가능하고 세금이나 보험은 사업주가 알아서 할 일이니 신경 쓸 필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세금 및 보험과 상관없이 질문자님의 경우 최저임금에 미달하는 임금을 받았고 주휴수당도 받지 못한 상태이므로

      사업장 관할 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원칙적으로 정상적으로 지급해야 할 급여에 대한 4대보험료 및 세금을 원천징수 해야 하므로, 4대보험에 소급하여 가입할 경우에는 근로자의 동의를 얻어 4대보험료를 제하고 지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