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상공론”이라는 말의 기원이 어디서 비롯된건가요?
탁상공론은 현실성이 없는 허황한 이론이나 논의를 뜻하는 사자성어로 알고 있는데요. 이 사자성어의 기원이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탁상공론이라는 말은 책상 위에서만 이루어지는 허황된 이론이나 논의를 말하는 것으로, 현실성이 없고 실행 가능성이 없는 주장을 비판할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같은 뜻의 예로 중국 전국시대 조괄이 병법에 있어서 이론에는 능하나 실전 경험이 부족하여 전투에서 패해 전사한 이야기에서 그 유래가 있다고 말하기도 하나 이것은 지상담병 紙上談兵이라고 종이 위에서 병법을 논한다는 표현으로 전해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추해보면 탁상공론이라는 말은 우리나라도 한자문화권이므로 지담상병이라는 내용을 알고 있는 지식인들이 국정 또는 무언가를 논의하는 와중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탁상공론은 '탁자 위에서만 이루어지는 논의'라는 뜻으로 실제 현실과 동떨어진 이론과 허황된 논의를 뜻하는게 맞습니다. 기원에 대한 많은 설들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전국시대에 조나라 장수 조괄이 병법 책에만 의존하고 무모하게 전투에 참가했다가 처참하게 패배하였고 이 사건을 '탁상공론'의 사례로 인용하곤 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탁상공론(卓上空論)이란 말 그대로 탁자 위에서만 펼치는 헛된 논쟁 이라는 의미로, 실현 가능성이 없는 허황된 이론을 가르키는 말로 우리 나라에서는 그 유래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려 시대 정도에 유래 된 것으로 추정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탁상공론은 '책상 위의 헛된 이론'이라는 뜻으로 실제로는 실행되지 못하고 책상머리에서만 떠드는 공허한 주장이나 논의를 가리킵니다. 원래는 학문적 토론이나 이론적 논의 자체를 낮잡아 부르는 말이 아니라 현실과 동떨어져 실효성이 없는 말잔치라는 비판적인 의미를 담고 쓰는는 표현입니다. 특정 중국 고사가 연결되어 있지는 않으며 비슷한 사자성어로 '지상담병'이라는 사자성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는데 지상담병은 '종이 위에서 병법을 다룬다'라는 뜻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중국 전국시대 조나라 장수 조괄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는 병법에 능통했지만 실제 전투 경험이 없어 책 속 이론만 믿고 지휘하다가 장평대전에서 패배했습니다. 그리서 지상담병은 실천 없는 이론, 말뿐인 전략을 비판하는 말로 자리잡았습니다.
탁상공론은 따로 기원이 없는 사자성어로
한자 자체를 직역하면 바로 뜻이 됩니다
탁=식탁, 원탁 할 떄 의 [탁]
위(상) 에서 텅빈(공) 논쟁을 한단거죠
중국에선 쓰이지 않기 때문에 한국산인게 거의 확실한 사자성어이기도 합니다중국에서 쓰는 비슷한 사자성어로는 지상담병(纸上谈兵 종이 위에서 병정놀이)이 있으며
이쪽은 전국시대 조나라의 이야기가 유래라고 합니다
참고로 일본어로는 궤상의 공론(机上の空論) 이라는 한국과 비슷한 표현을 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