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9

영어 교육은 어릴때 받을수록 효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영어가 정말 중요하니까 다른 교육은 차치하고서라도 영어는 꼭 유창하게 말할 수 있게 가르치고싶은데요. 어릴때 받을 수록 효과가 당연히 좋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영어도 국어와 마찬가지로 다른나라의 언어이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노출시켜주는게 효과가 있습니다.

    어린이집에서 가지고 오는 음원을 이용해서 놀이시간에 들을 수 있도록 틀어주고

    애니메이션도 언어를 영어로 설정해서 들려주면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노출시킬 수 있게 됩니다.

    저희 아이들은 4~5세 때부터 아이 엄마가 위와 같은 방법으로 노출시켜준 결과 현재 초3, 초4학년인데

    확실히 듣는 귀가 트이더라고요. 또한 외국 사람을 만나도 망설이거나 겁을 내지 않고 대화를 시도하려고 하더라고요.


  • 친절한코끼리20
    친절한코끼리2023.01.29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어린시절에 받는 것이 언어발달에 좋으나

    너무 이른 나이에 한다면 아이가 오히려 거부감이 들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영어에 관심이 있고 흥미 있어 하면 아무래도 교육적 효과는 클 것 같아요

    어린 아이들일수록 받아들이는 수준이 스폰지라서 쉽게 외국어를 터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외국어를 시작하는 가장 좋은 시기는 아이가 외국어에 흥미를 느낄 때 랍니다.
    억지로 시키다가 ‘외국어가 재미없다, 힘들다’라는 느낌을 아이가 받게 되면 외국어를 아예 싫어할 수도 있기 때문이지요

    3세 무렵까지는 뇌에 주는 자극이 뇌의 기능에 크게 영향을 주므로 교육의 시작 시기가 빠를수록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조기 교육의 이면에는"더 빨리, 더 높이, 더 정확하게"라는 것이 존재하고 눈에 보이는 것들만을 중시하고,경쟁 원리가 작동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너무 이른 나이에 영어 조기 교육을 시작하면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고 흥미도가 떨어져 오히려 학습효과과 역효과를 초래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어느 정도 모국어를 알아듣고 이해하여야 하며 영어의 흥미와 관심을 보일때 그때 영어공부를 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