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 매출이 줄어드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닏.
공항에서 면세점을 이용하는 이유가 일반적으로 저렴해서 많이들 사는것으로 알고잇는데요 공항 면세점 이용객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따는데 여행객들이 면세점을 이용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면세점 매출이 줄어드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단 면세점에서 구입하는 것의 메리트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면세점 이용이 줄어드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 상승과 소비 심리 위축, 온라인 직구 확대로 면세점 이용객이 줄고 있습니다. 또 국내 브랜드 제품의 해외 가격 경쟁력 약화도 한몫합니다. 소비자들이 공항 면세점이 꼭 싸지 않다는 인식을 갖게된 점도 주요 요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면세점은 코로나를 기점으로 하여 큰 타격을 입게 되었습니다
과거에는 면세점을 위해서 여행을 갈만큼 수요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온라인으로
해외직구가 용이해졌기 때문에 큰게 유리하진 않습니다
또한 과거만큼 중국인 관광이 늘지 않았기에 우리나라에서 매출이 크게 늘진 않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면세점 매출 감소의 주된 원인은 높은 임대료와 가격 경쟁력 약화, 온라인 면세점 이용 등가 등이 있습니다.
또한 주력 고객인 중국인 관광객의 감소와 다양한 유통채널로 인하여 면세점의 매력이 감소하였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면세점이 가장 크게 줄어든 이유는 중국효과가 줄어든게 가장 큽니다. 원래 코로나 이전까지 한국의 면세점 매출은 중국따이공과 중국인들이 집단관광으로 대거 유입되면서 이들의 공항면세점에서 대량으로 화장품을 소비하고 또한 서울의 시내면세점에도 대량으로 물건을 매입해서 사간게 가장큽니다.
그러나 코로나 이후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가 사실상 중국에서 영향력이 줄어들었고 한국 화장품의 고급브랜드가치가 사실상 영향력이 없고 중국내에서의 로컬브랜드 성장과 서구권이나 주요 브랜드가 자리를 차지하면서 한국 화장품이 중국내에서 역성장을 한게 가장 큽니다. 그러다보니 중국의 따이공과 같은 보따리상 기업들이 더이상 한국의 면세점을 통해서 대거 매입하지 않고 있고 중국인 관광객도 코로나이후 크게 줄어들면서 국내 면세점에서 직격탄이 된게 가장 영향력이 큽니다.
거기다가 국내에서도 한국의 외국인 관광객이 최대로 유입되고 있으나 이들의 구매도 한국의 면세점유통이 아니라 국내의 다이소나 올리브영을 통한 중소형 브랜드구입을 중심으로 채널이 바뀌게 되면서 이런 영향력으로 국내 면세점의 유통매출이 영향력이 사실상 감소한게 주요요인된것이며 또한 한국의 관광객도 면세점 매출에서 비중이 사실상 미미한상황이었는데 거기다가 한국인 관광객도 소비를 하지 않고 동남아나 일본등 가성비 여행에 집중된것도 이런 면세점 매출감소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면세점 매출 감소는 고환율로 인해 면세품의 가격 경쟁력이 사라져 저렴함이라는 본래의 매력이 퇴색된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특히 중국인 보따리상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가 있었는데, 이들에 대한 송객 수수료가 수익성을 크게 악화시키거나 거래가 중단되며 매출이 급감했습니다. 또한, 해외 명품 등을 국내 백화점 할인이나 해외 직구 등 다른 유통 채널을 통해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되어 면세점의 차별성이 약화되었습니다. 공항점의 경우, 높은 임대료 부담으로 인해 기업들이 사업 철수를 고려하는 상황에 직면하며 비용 압박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면세점보다 더 크게 할인이되는 온라인쇼핑몰도 있으며 점차적으로 소비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면세점에서 물건을 사는것을 줄어드니 면세점 입점에도 점차적으로 신청이 줄어든다고 볼수 잇습니다. 일단 소비심리 회복이 우선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면세점 매출 감소 이유는 복합적입니다. 코로나19 이후 관광객은 증가했는데 기존 면세점들의 소비 패턴 변화, 중국 보따리상 의존도 감소, 높은 임대료 등이며 면세점의 고가 제품 소비가 K뷰티, 푸드 등 중저가 가성비 제품으로 옮겨간 이유도 있었습니다.
관광객 수 증가 대비 객단가는 오히려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2025년 7월 외국인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23% 정도 증가했지만 면세점 1인당 구매액은 기존 42만원에서 35만원으로 오히려 16% 감소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전처럼 면세점에서 무조건 싸게 산다는 인식이 많이 약해졌습니다. 온라인 직구나 해외 현지 구매가 더 저렴한 경우가 많아졌거든요. 보기에 환율이 올라가면서 면세 혜택이 예전만큼 체감되지 않는 것도 있습니다. 또 요즘 여행객들 소비 패턴이 달라져서, 공항보다 시내에서 미리 사거나 아예 기념품 위주로 바꾸는 추세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면세점이 저렴하다는 인식이 있지만 고환율과 경기 침체로 인해 면세점의 가격 혜택이 예전만 못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여객 수에 연동되는 높은 공항 임대료 부담이 가중되었고, 과거 큰 손이었던 중국인 관광객(유커)이 줄어들고, 해외 직구나 온라인 쇼핑 등 다른 채널에서 더 저렴하거나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면세점만의 매력이 감소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