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아이 성조숙증은 어떻게 판단을 할수 있나요?
초등학교 여자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여자아이다 보니 제가 이만 저만 신경이 쓰이는게 아닙니다.
우선 와이프가 계속 성조숙증을 걱정하던데, 성조숙증에 대해서 어떻게 판단을 할수 있나요?
기준이나 이런것들이 있을까요? 그렇게 크게 걱정을 안했는데 와이프가 걱정을 하니까 저도 신경이 너무 쓰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여자아이 성조숙증 증상은 만 8세에 사춘기의 특징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유방이 발달하거나 가슴몽우리가 생기고 난소가 있는 아랫배에 통증이 있거나 냉대하같은 분비물,
음모나 여드름, 머리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키가 빨리 자라거나 급격한 체중증가도 사춘기 증상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증상을 보일 경우 병원에 가서 성조숙증 검사를 행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최연철 입니다.
자녀의 성조숙증에 대해 궁금하신 듯 합니다.
여아의 이차성징이 만 8세 이전에 시작되면
성조숙증을 의심하고 검사를 해볼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유방의 발달로 이차성징이 시작되지만,
아이들에 따라 증상이 다른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두피의 냄새 또는 피지의 증가, 키 성장, 식욕의 증가,
음모를 비롯한 체모가 자라는 등의 변화를 보이기도 합니다.우리나라의 건강보험 적용 기준 등을 고려하면
여아는 늦어지더라도 만 9세가 되는 생일 이전에
성조숙증의 진단 및 치료를 시작해야 되어야 합니다.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여자아이가 성조숙증이 빨리 나타나는건
보통 2차성징 가슴이 나오거나 음모가 생기는 것을
토대로 빨리 발생한다면 성조숙증이 온다고 판단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몸무게가 너무 많이나가지않으면 크게 걱정할것은 없으며
유방이 올라오거나 2차성징이 기준에 비해빠르다면
병원에서 성조숙증 검사를 받는것도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겨드랑이나 음모에 털이나거나 혹은 가슴 몽우리가 지는것을 보면 파악할수있을것이며
자세한것은 병원에서 검사를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여자 아이의 정상적인 사춘기는 시상하부-뇌하수체 활성화가 가장 먼저 나타나며, 이후 난소에서 여성 호르몬이 분비되면서 유방이 나오고, 다른 신체 변화들(음모 발달, 빠른 키 성장, 여드름)이 순차적으로 나타납니다.
여아는 유방이 생기면서 키 성장 속도가 증가하고, 음모가 나타나며 여드름이 생깁다.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는 속도는 개인마다 다양하여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또한 이와 같은 일반 증상 외에도 원인 질환에 따라 매우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예로 맥큔-올브라이트 증후군(Mccune-Albright 증후군, 가족성 성선 중독증) 같은 경우에는 골절 등을 포함한 골격계 이상과 몸에 커피색 반점 등이 나타나며, 시상하부 과오종(뇌의 이상으로 미친듯이 웃어대는 웃음경련) 같은 경우에는 경련이 잘 동반되며, 뇌종양 등이 원인인 경우에는 위와 같은 사춘기 증상 외에도 두통, 구토, 시력 저하, 자꾸 넘어짐, 야뇨증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최근 학생들이 사춘기가 빨라져 5학년 전후로 이차성징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성조숙증은 8세전후에 2차성징이 시작되는 것으로 의심이 된다면 병원을 가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사춘기 이전 시기에 급격한 키 성장률을 보이거나 가슴과 음모가 발달하는 등의 신체변화가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숙증의 판단기준이 만 8세 이전에 가슴 멍울이 생길 경우 성조숙증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래 보다 2차 성징이 시작되는 것을 성조숙증을 의미 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증상이 보인다면 성조숙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초경을 시작했다.
- 냉과 같은 분비물이 보인다,
- 유방이 발달하고 멍울이 잡힌다
- 여드름, 겨드랑이 털이 난다 등이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숙증과 같은 경우
보통 2차성징이 빨리 나타나니
이를 통하여 판단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