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에서 종목 기업분석시 유보율 수치를 볼때 어떻게 판단해야할지 ?
기업재무재표 등.. 유보율 확인시 수치를 볼때 어느정도의 적정선에서 봐야할지.
유보율이 좋은건지 나쁜건지 판단하기가 어렵네요
일률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그나마 대략적으로라도 말씀드리자면 비슷한 동종업계, 비슷한 규모군의 기업들의 평균적인 수준과 비교를 해서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보율이 높으면 안정성이 높아지겠지만 그만큼 투자할 대상이 없는 정체된 산업이라는 말이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보율이 높다는 것은 그 만큼 회사의 수익성은 높으나, 그 돈을 사용하지 못하는 금액이 많다는 것입니다 유보율은 너무 많아도 문제, 너무 적어도 문제지만 그래도 유보율이 높은 회사가 재무구조가 우수하고, 자금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유보율이란 기업이 스스로 얼마 정도의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인데, 현금보유량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죠.
주식 유보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수익을 밖으로 유출하지 않았다는 의미인데, 그만큼 안정성이 높다고 보입니다.
하지만 유보율이 높다고 좋은 기업이 아닌게, 너무 높으면 투자를 제대로 못하고 있다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유보율을 고려하실때, 비슷한 업종과 기업군의 유보율과 비교하시면서 검토하면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보율이 너무 낮다면 아무래도 좋지 않은 것이나 너무 높아도 문제입니다.
그렇기에 동종업계의 기업들과 비교해보는 것이 판단하는데 그나마 나으실 것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보율은 기업의 재무건전성 평가의 중요 지표중 하나 입니다. 유보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자본금 대비하여 많은 이익을 내고 있고 실제로 적립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결국 유보율이 높다는 것은 회사의 재무건전성이 좋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수치적으로 볼때 유보율이 500%이상이면 높다고 평가합니다. 이는 기업이 자본금 대비 5배 이상의 이익을 유보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보율이 높다는 게 반드시 좋은 건 압니다. 배당율이 약하거나 재투자를 하지 않는 것으로 사업 모델 진부화 가능성으로 다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순이익의 일부를 유보하고 재투자하는 게 건전한 회사의 재무 및 운영 구조라 판단됩니다. 물론 업종별로 양상은 다를 수 있습니다. 4~5년 주기로 설비교체 등이 필요하면 설비투자 전까지는 유보율이 높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보율은 기업이 내부적으로 축적한 이익과 자본을 비교하여 기업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유보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안정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보통 100% 이상이면 안정적인 수준으로 평가되며, 200% 이상이면 매우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업종이나 기업의 특성에 따라 적정한 유보율은 다를 수 있으므로, 비교 대상이나 시장 평균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보율은 회사가 번 돈 중에서 얼마나 남겨두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유보율이 높으면 회사가 미래에 투자하거나 위기에 대비할 자금이 많아 좋은 신호입니다. 하지만 너무 높으면 주주에게 이익을 제대로 돌려주지 않는다는 의미일 수 있으니 적당한 균형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