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이 생기는 원리가 궁금해요
갯벌에 밀물 썰물이 생기면 썰물시 바다였던 갯벌이 드러나게 되잖아요. 얼핏 듣기로는 달과 관련이 있다고 들은 것 같은데 정확히 어떤 관련이 있는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종재 과학전문가입니다.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에 보면 질량을 가진 모든 물질 사이에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인력)이 존재하고, 이 인력의 크기는 그 물질의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즉 무거운 물체 일수록 거리가 가까울 수록 큰 힘으로 끌어당긴다. 라고 나와 있습니다.
지구와 달 그리고 태양은 자전과 공전을 하고 있으며, 이때 달과 지구의 거리가 태양보다 가까워서 태양보다 약 두배정도의 지구에 대한 만유인력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달과의 거리가 가까운 쪽은 달이 땡기는 힘으로 밀물이 지구에서 그와 직각이되는 방향에는 썰물이 됩니다. 그리고 달의 반대편은 달의 인력이 약해지며 오히려 달아나려는 힘에의해 밀물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갯벌은 주로 바닷물이 얕고 넓게 퍼져있는경우에 잘 만들어집니다.
왜냐하면 밀물로 인해 들어온 바닷물이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진흙밭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서해안이 이런 지형이 발달해있습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조수간만의 차(썰물, 밀물)는 달과 태양의 중력(만유인력)으로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바다와 호수에 작용하므로 물결이 이는걸 볼 수 있으며, 밀물과 썰물이 발생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물이 빠지는 시기에 갯벌이 형성되죠.
육지와 바다물이 만다는 경계가 완만하고 조수 간만의 차가 크게 되면
밀물과 썰물에의해 퇴적물이 쌓이게되어 넓고 긴 갯벌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밀물과 썰물은 달의 인력으로 발생되는 것이기 때문에 달이 없다면 갯벌도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 갯벌은 육지의 흙이 비에 의해 침식되어 강이나 하천으로 운반되면서 형성됩니다.
운반된 흙 중 가벼운 입자들이 강하구로 유입되면서 바다까지 흘러가게 되고,
이 유입물이 퇴적물로 쌓이게 되면 갯벌이 만들어집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경우, 육지의 흙이 침식되어 강이나 하천으로 운반되고 가벼운 입자들이 바다까지 흘러 들어오게됩니다.
유입퇸 퇴적물들이 쌓여 갯벌과 같은 토지가 형성되고 달에의한 밑물과 썰물로 갯벌이 드러나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