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불로 월세를 살고 있는데요 추후에 나갈때, 월세는 어떻게 하는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후불로 월세를 살고 있어서
8/2일에 월세계약을 하고 9/2일이 처음 월세를 내는데요
1년계약으로 했는데요
상황봐서 연장할수 있으면 연장해서 계속 살고 싶긴한데
그렇지 못할경우에 추후
월세는 어떻게 되는건지 궁금하여
글 올려봅니다
감사합니다.
후불로 월세를 살고 있어서
8/2일에 월세계약을 하고 9/2일이 처음 월세를 내는데요
1년계약으로 했는데요
상황봐서 연장할수 있으면 연장해서 계속 살고 싶긴한데
그렇지 못할경우에 추후
월세는 어떻게 되는건지 궁금하여
글 올려봅니다
감사합니다.
==> 월세 납입시기가 후불이라면 이사를 할 때도 월세를 납부, 정산을 한 후 이사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1년 계약으로 월셋집에 거주하시다가 연장하시는 경우, 주택임대차 보호법에 따른 기본 계약기간인 2년 거주를 주장(임차인만 주장 가능)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되면 동일한 조건으로 1년 기간이 연장될 수 있는데, 월세도 기존 처럼 후불로 납입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차계약 월세 조건이 후불일 경우 먼저 한달 거주를 하고 난 후에 거주한 만큼 월세를 납부를 하는 프로세스입니다.
즉 마지막 달의 경우 거주한 한달 치 내시고 퇴거를 하시면 됩니다. 총 12번의 월세를 내시면 1년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후불 월세는 한 달간 거주한 뒤 납부하는 방식인데 계약 만료 시 마지막 월세는 실제거주 마지막 날의 다음날 즉 계약 만료일 다음날에 마지막 월세를 납부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재계약을 하지 못해 만기퇴거를 하거나 만기 전후로 퇴거를 하는 경우에는 실거주기간까지의 월세만 지급하시면 됩니다. 만기일 정상퇴거를 한다면 퇴거하는시점 9/2일에 8월달 월세를 지급하고 퇴거하시면 되고 해당일자 전에 퇴거를 하시면 일수에 따른 월세를 지급, 해당일자 이후로 퇴고하는 경우라면 9/2일 월세납입 이후 날짜부터는 일할계산하여 지급하시면 됩니다. 보통 일할 계산은 정확히 하고자 한다면 일년치 월세를 365일로 나누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를 후불로 정하셨으면 사는 날자까지 계산해서 정산을 하면 됩니다
월세를 내는 2일보다 더살았으면 더계산을 하면 되고 미리 나가게 되면 계산을 차감하면 됩니다
만약에 부동산에서 처리를 하게된다면 날자계산을 해서 정리를 합니다
월세를 후불로 계약했을 경우 계약이 종료되는날 마지막 월세를 지불합니다.
2년뒤 8월2일 퇴거할때 마지막 월세를 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후불로 월세를 1년 계약하셨다면 1년 계약이 끝나기 전 연장 의사가 없으시다면 집주인에게 의사를 전달하시고 계약 종료 시점에 맞추어 월세 부분 정산하시고 나가시면 됩니다.
후불 월세의 경우 8월 2일 계약일에 맞추어 8월 2일이 마지막 납부인지 9월 2일이 마지막 납부인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경우가 있는데 8월 2일이 계약 만료와 동시에 월세도 함께 끝나는 것입니다.
그 이유를 집주인이 아니라고 9월 2일 월세를 내야한다고 이야기 한다면 1년 계약 총 12번의 월세를 내는 계약입니다. 즉 9월부터 내년 8월까지가 12번의 월세를 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