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당 스파이크를 막는 방법으로 음식을 차게해서 먹는 것이 맞는 정설인가요?
공복혈당장애 진단으로 탄수화물을 최대한 피하고 밥도 현미밥 위주로 식사를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다만 가끔 탄수화물이 그리울때가 있는데 밥이나 빵을 차게 먹으면 혈당 스파이크를 막을 수 있고 탄수화물이 먹고 싶을때 그렇게 먹으면 도움이 된다고 하는데 사실인지요? 차게 해서 먹으면 왜 혈당이 잘 올라가지 않는 것인지 문의드립니다.
심지어 그렇게 차게 만든 밥을 전자 레인지로 살짝 뎁혀도 괜찮다고 하는데요.
만일 그렇다면 떡도 차게 만든 후 전자레인지로 돌려서 먹어도 괜찮을까요?
인절미를 굉장히 좋아하는데 진단 이후로 많이 먹지 못해서 아쉬운 마음에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혈액 속의 혈당 수치의 변화는 전적으로 복용하는 탄수화물과 당류의 절대적인 양에 따라 달려있지, 섭취하는 음식물의 온도에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차게 먹는 것이 혈당 스파이크를 막는 방법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음식의 온도가 낮을경우에 소화가 늦게 된다면 이론적으로 혈당이 올라가는것을 잠시 늦출수는 있지만 결과적으로 체온과 같은 상태에서 소화가 되기 때문에 크게 영향이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혈당이 올라가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는 온도보다는 당이 덜들어가고 설탕등의 단당류가 덜들어간 음식을 먹는 것이 효과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식단이 중요하지 온도가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당뇨식단은 당이나 탄수화물이 많은 식단은 제한하고 채소류를 많이 먹는 것이 도움됩니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도 당뇨를 개선하는데 매우 도움이 됩니다. 생활습관 개선으로 한계가 있을 경우 내과에 가셔서 약물치료를 함께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밥을 지은 직후보다는 냉장고에서 20분가량 상태가 변화하게 만든 이후에는 밥이 혈당을 상대적으로 덜 올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떡은 혈당을 매우 높게 올리기 떄문에 해당방법을 사용해도 큰 변화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혈당이 급격히 올라가는 것은 건강에 좋지는 않습니다.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이유는 당지수가 높아서 쉽게 소화되어 흡수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음식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아니랍니다. 공복혈당 장애가 있는 정도라면 극단적으로 식사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랍니다. 인절미를 드셔도 됩니다. 다만 너무 많이 드시는 것만 피하시면 되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기덕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전분이 가열하게 되면 원래 구조를 잃게 되구요,
이것이 냉각되면 새로운 구조가 됩니다.
전분역행이라고도 하구요. 이런 과정을 통해 저항성전분으로 되는데요.
재가열 후에도 저항성 전분이 더 높게 유지됩니다.
정확하게 보시려면 연속혈당기를 차고 실험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