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산타가 없다는 걸 알아차렸을 때 심리가 궁금합니다.
보통 아이들이 산타가 없다는 것을 5-7살 쯤 알아차리는 걸로 알고 있는데 산타가 없다는 것을 알아차렸을 때 아이들은 어떤 감정일지, 어떤 심리일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마다 산타가 없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함에 있어 성향이나
기존의 선물을 받은 경험에 따라 모두 다릅니다.
아이가 부모로부터 원하거나 좋은 선물을 받아 기쁨이 큰 경우
산타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 실망감이 클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부모에 대한
감사한 마음이 들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충격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자신들이 믿던 산타할아버지가 없다는 것에
충격을 먹으나 엄마아빠가 언제나 너희의
산타가 되어줄게라고 말을 하여 안정을 시켜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영국 엑서터대학교 심리학과의 Chris Boyle 교수가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 3분의 1은 산타가 없는 걸 알았을 때 '분노'를 느꼈다고 합니다. 총 응답자의 15%는 배신감까지 들었다고 대답했어요. 이들은 어린 시절 산타할아버지 신화가 무참히 깨졌을 때 어른에 대한 신뢰까지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요즈음엔 유튜브 등 미디어의 발달로 정보가 빠르다 보니,
미취학 아동들도 산타가 없다 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 같아요
부모님들은 아이에게 산타의 유래나 산타와 관련된 동화책을 읽어 주는 것도
아이가 산타를 궁금해 하는 것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가 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