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벌레들은 왜 빛으로 몰려드는 걸까요?

여름밤에 외출하다보면 다수의 벌레들이 가로등 주변에 몰려 있는 상황을 볼 수 있는데 이런 벌레들은 왜 빛을 향애 모여드는 건가요?

이런 현상은 모든 곤충에게 일반적인 건가요? 아니면 빛을 싫어하는 종류들도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벌레들 중 빛을 이용해 위와 아래를 구분하는 종들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많은 곤충들은(특히 비행가능한) 빛이 있는 쪽을 위 빛이 없는 쪽을 아래로 인식합니다.

    그래서 비행할 때 등을 빛쪽으로 향하게 하여 비행합니다.

    하지만 전등같은 빛은 태양과 달리 낮은곳에 위치합니다.

    그래서 곤충을 기준으로 절대적으로 윗방향에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곤충은 빛이 있는 곳을 위쪽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비행하는 곤충은 전등의 빛을 등쪽을 향하게 하려하며 결국 전등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비행하게됩니다.

    곤충들의 인식체계 때문에 빛에 묶여있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많은 벌레들은 밤에 빛을 사용하여 방향을 잃지 않고 이동하거나 먹이를 찾습니다. 하지만 인공 빛이 자연적인 빛보다 훨씬 강하기 때문에 벌레들이 혼란스러워하고 빛에 몰려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주성은 일정한 자극에 대해서 생물이 반응하는 생태를 말하는데요, 그 자극에 대한 반응의 방향에 따라 그 자극원 쪽을 향하면 양의 주성, 반대쪽으로 향하면 음의 주성으로 분류됩니다. 주성에는 주광성(광주성), 주화성(물질주성), 주지성(땅주성)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요, 곤충이 빛에 모이는 이유는 주성중에서도 주광성 때문입니다. 즉, 빛의 자극에 대해 그 자극원으로 모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벌레들이 밤에 가로등에 몰려드는 이유는 항행 메커니즘 때문인데요, 많은 야행성 곤충들은 달빛을 이용해 이동 방향을 유지합니다. 달빛은 매우 먼 거리에 있기 때문에 일정한 각도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공 조명은 가까운 거리에 있어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려고 하면 나선형으로 빛 주위를 맴돌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벌레가 빛을 향해 몰려드는 것은 아닌데요, 바퀴벌레는 주로 어두운 곳에서 활동하며, 빛을 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지렁이도 빛을 싫어하고 어두운 땅 속에서 생활합니다.

  • 많은 벌레들은 빛을 향해 움직이는 성질인 '주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마치 나침반이 항상 북쪽을 가리키듯, 벌레들은 빛을 보고 그쪽으로 이동하려는 본능적인 행동을 하는 것이죠.

    또 벌레들은 밝은 방향으로 등을 돌리려는 '배광반응'이라는 특징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벌레들이 세상의 위아래를 인식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는데, 인공적인 빛이 이러한 시스템을 혼란스럽게 만들어 벌레들이 빛 주변을 맴돌게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나 모든 곤충이 빛을 좋아하는 것은 아닙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빛을 좋아하는 곤충을 '양성 주광성' 곤충이라고 하며 나방, 모기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반대로 어둡고 그늘진 곳을 좋아하는 곤충을 '음성 주광성' 곤충이라고 합니다. 지렁이, 바퀴벌레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 벌레들이 빛으로 몰려드는 이유는 주로 본능적인 방향 감각 때문입니다. 많은 벌레들은 달빛을 이용해 방향을 잡는데, 인공 빛을 달빛으로 착각하여 그 주변을 맴돌게 됩니다. 모든 곤충이 빛에 몰려드는 것은 아니며, 빛을 싫어하는 종류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바퀴벌레 같은 곤충은 빛을 피하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