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차선변경 완료 후 사고 과실 비율 질의 2 2
차선변경을 완료 후에 사고가 났는데요 과실비율이 어떻게 될까요?
https://m.blog.naver.com/kernel0209/223053466967?afterWebWrite=true
영상 링크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락훈 손해사정사입니다.
차선변경 완료하신 후에 바로 추돌 당하셨네요 우선은 멈추신 이유는 영상보니까 앞차가 정지해서 멈추신것으로
확인되시네요.
우선 피추돌 사고로 주장하셔야 될 것같습니다. 이유없는 급정지한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추돌사고로 주장하셔야하고
상대방 보험사에는 진로변경 후 바로 사고가 난것이기 때문에 상대측에서는 차선변경으로 주장할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포인트는 경찰서에서 차선변경 완료된것으로 본다고하면 상대방 100%과실로 진행될 가능성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이영찬 손해사정사입니다.
해당 블박 내용을 보았을 때 차선 변경이 완료되었다고 볼 수 없는 사고로 차선 변경 중 사고로 처리가 됩니다.
차선 변경을 하게 되면 30미터 이상을 주행해야 차선 변경이 완료된 것으로 보아 선행차와 후행차의 관계가 되고
뒷 차가 다시 안전 거리를 갖기 전 사고는 차선 변경 중 사고로 보아 기본 과실 블박차 70 : 30 상대차 과실이 적용됩니다.
그 과실에 방향 지시등 점등 여부 등에 따라 과실이 조정되어 최종 과실이 산정됩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위 경우 차선 변경 중 사고로 처리될 가능성이 많아 보입니다.
차선 변경 후 3초 정도 후에 충돌이 일어난 것으로 차선 변경 중 사고로 처리될 가능성이 많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