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우리몸의 DNA가 스스로 복구할 수 있는 과정과 이를 방해하는 요소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우리 몸의 DNA눈 손상되지만 끊임없이 복구가 된다고 하는데요 DNA가 스스로 복구할 수 있는 과정과 이를 방해하는 요소는 무엇인가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리 몸의 DNA는 염기 교정, 절단 복구, 상동 재조합 등 다양한 복구 기전을 통해 손상된 부분을 스스로 고치지만, 방사선, 자외선, 흡연, 환경오염, 노화, 스트레스 등은 이러한 복구 과정을 방해하거나 손상을 증가시켜 복구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DNA 복구는 세포의 생존과 암 예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 기능이 약해지면 돌연변이와 질병 발생 위험이 커집니다.

  • DNA복구는 손상 유형에 따라 다른 복구 메커니즘이 작동합니다. 

    예를 들어 '염기 절제 복구'의 경우 손상된 염기를 제거하고 올바른 염기로 대체하는데, 주로 산화적 손상이나 알킬화에 의한 손상을 복구합니다. 또 '뉴클레오티드 절제 복구'는 자외선에 의한 손상이나 화학 물질에 의한 DNA 가닥의 변형을 복구하는데 손상된 DNA 가닥의 일부를 잘라내고 새로운 DNA로 대체하는 방식입니다.

    '상동 재조합'의 경우 DNA 이중 가닥 절단과 같은 심각한 손상을 복구하는 메커니즘으로 손상되지 않은 상동 염색체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손상된 DNA를 복구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비상동 말단 연결'이나 '미스매치 복구' 등의 복구 메커니즘이 있습니다.

    이런 DNA 복구를 방해하는 요소라면 방사선이나 담배연기와 같은 화학물질, 활성 산소 종, 그리고 노화 등이 대표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세포의 핵내에는 DNA를 수리 할수 있는 특정 단백질에 의해서 복제를 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오류를 수정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