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정직한복어150
정직한복어15023.03.10

돌 아기가 한 번씩 양손으로 머리를 두드리는 모습을 보입니다.

돌 아기가 한 번씩 양손으로 스스로의 머리를 두드리는 모습을 보입니다.

무의식적으로 나오는 행동인 것인지 아니면 무언가 이상을 의심해보아야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미리 답변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의도적으로 일부러 때리는 경우면 무시를 해주세요.

    처음에 아이가 자기 머리를 때리면 부모는 놀라기 때문에 관심을 갖았을 텐데요, 아이는 이상황을 '내가 머리를 때리면 나한테 관심을 갖는구나' 라고 생각합니다. 아이가 관심을 받기 위해 때리는 경우 이기 때문에 무시를 해주세요. 한번 무시를 해보고 다음을 생각해보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 시기에 아기들은 자신의 신체에 관심이 많을 시기입니다.

    머리를 두드리며 나는 소리에 관심이 생겨서 그 행동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움직임이나 소리가 나는 것에 관심이 많아서 자신에게 나는 소리에 반응을 보이며 반복적인 행동을 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영아들이 탐색하는 과정의 한 예로 자연스런 과정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평소보다 컨디션이 다르고, 축 쳐져있으며, 토를 한다면, 빨리 병원에 가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니고

    일시적으로 그나이때 발생하는 행동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행동이 의미없는 행동이긴 합니다만 부모님께서 많이 신경쓰이시면 아이가 그런 행동을 할 때 부모님께서 장난감이나 다른 놀이로 환기를 시켜 주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가 머리를 두드리는 것은 자기 자신을 진정시키는 습관이라고 생각하기 때문 입니다.

    머리두드리는 것은 보통 아기의 첫해에 시작되며 3~4세 사이에 끝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머리를 두드리는 것은 그리 좋은 행동은 아니기 때문에 머리를 두드리는 행동은 하지 않아야 된다 라고 부드럽고 단호하게 말하여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양 손으로 머리를 두드리는 행동을 다른 대처 행동으로 바꾸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성장함에 따라 표현하는 방법들도 다양화 되는데

    머리를 두드리는 행동이 특정의사표현과 관련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시간이 지나 언어 능력의 발달 행동의 풍부화가 이루어지면 점차 줄어 들 수 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