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골절로 통깁스한 팔의사용범위
손목 골절 통깁스하고서 주부이다보니 통깁스 한 팔을 아예 사용안할수가 없어서 이것저것 들고 간혹 불편하지만 설겆이도 하고 빨래도 널고 하는데 골유합되는데 안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손목 골절 후 통깁스를 한 상태에서 팔을 사용하는 것은 골유합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골절 부위에 가해지는 부담과 압력은 치유 과정을 방해하고, 때로는 치유 시간을 늘리거나 잘못된 위치에서의 골유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손상된 손목을 안정시키고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 생활에서 불가피하게 팔을 사용해야 할 경우, 정형외과와 상의하여 안전한 활동 범위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가능하면 사용을 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기는 합니다
통기브스는 일부러 움직임을 제한한 것이구요
이런 상황에서 이것저것 움직인다는 것은 회복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입니다
빠르고 완전한 회복을 위해서 현재의 불편함은 감수해주시기 바랍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손목의 골절로 고정해놓은 상태라면 당연히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적입니다만, 부득이한 상황이시라면 다친 팔로 무거운 물건을 든다거나 강한 힘을 가하는 등의 행위라도 피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손목 골절로 통깁스를 한 경우, 통깁스한 팔을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통깁스한 팔을 사용하면 골유합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또한, 통깁스한 팔을 사용하면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손목 골절로 통깁스를 한 경우, 통깁스한 팔을 사용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통증이 심할 경우 진통제를 복용하고, 냉찜질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손목 골절은 약 2~3주 정도의 치료 기간이 필요합니다. 치료 기간 동안 통깁스를 한 팔을 사용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면 골유합이 잘 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통깁스를 하였더라도 자극이 계속 가해질 경우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최대한 지양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손목 골절 후 통깁스를 한 경우, 해당 팔의 사용을 최대한 제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골절 치료의 기본 원칙 중 하나는 손상된 부위를 안정시켜 주어 골유합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통깁스는 골절 부위를 고정시키고 추가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움직임이나 부담은 골절 부위의 정상적인 치유 과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무거운 물건을 드는 행동, 설겆이, 빨래 널기와 같은 활동은 손목에 무리를 줄 수 있으며, 이는 골유합을 지연시키거나 잘못된 방식으로 골이 유합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