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사전점검을 전문업체에 맞기는 것이 좋을지 조언 바랍니다.
분양 아파트의 부실 시공이 요즈음 계속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각 개인이 사전점검하기에는 누락되는 부분도 있을 것 같고 기준도 잘 모르기 때문에 전문업체에 맞기는 것이 좋을듯 한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개인의 선택으로 보입니다. 사전점검 특성상 미세한 하자부분까지 찾아내어 보수를 요구하기에는 전문업체가 유리할수 있지만 전문업체가 찾은 하자라고 더 빠르게 처리해주는 것도 아니며, 결국 본인이 들어가서 거주할 주택이고, 사전점검 이후 실입주뒤에도 하자보수를 진행하기 때문에 이왕이면 본인스스로 직접 하나하나 확인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셀프 사전점검의 장점은 개인이 직접 아파트를 살펴보며 세부적인 부분까지 확인 가능합니다.
추가적인 비용 없이 가능합니다. 단점은 전문적인 시선이 없어 누락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입주 전 스트레스 및 시간 소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문 업체 사전점검의 장점은 전문가들이 세세한 부분까지 확인해줍니다. 장비 점검과 육안 점검을 통해 누락되는 부분을 최소화합니다. 하자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보수 요청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비용이 발생합니다. 셀프로 하기에는 기준을 잘 모르거나 누락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분양 아파트의 부실 시공이 요즈음 계속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각 개인이 사전점검하기에는 누락되는 부분도 있을 것 같고 기준도 잘 모르기 때문에 전문업체에 맞기는 것이 좋을듯 한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입주 전 사전 적검을 가급적 전문 점검업체에 맡기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전문업체에 맡기면 비용은 들더라도 내집을 확실히 봐주니 좋기는 할 것 같지만 역시 문제는 비용이지요.
본인의 선택인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케이스 바이 케이스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전문업체가 지식이 많기때문에 잘 보겠지만 대충 보는 업체들이 걸릴경우 직접하는 것만 못 할 수 있습니다. 요즘 인터넷에 정보가 많으니 질문자님께서 직접 공부하셔서 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건설이나 인테리어 쪽에 지식이 있으시면 직접 사전점검에 참관해서 하자를 발견하고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만일 사전점검에 대한 지식이 없고, 여유가 있으시면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세밀한 부분까지 전문업체에 맡겨서
면밀하게 사전점검을 하는 것도 방법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개인이 하기보다 전문업체에 많이 맡기는거 같습니다
질문자님이 알고 있듯이 개인은 육안으로 볼수없는 부분이 많아서 전문업체에 맡겨서 수리를 하는게 오히려 좋을듯합니다
시간절약도 할수있어서 좋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