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휴일·휴가

신박한까마귀
신박한까마귀

만약 주4일 근무제가 도입된다면 어떤 장단점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만약 주4일 근무제가 실제로 도입이된다면 어떤 장점과 단점들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주 4일 근무제 도입의 장점으로는 근로자의 워라밸 향상, 스트레스 감소 및 생산성 증가가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기업의 인건비 증가, 업무 조정의 어려움 및 일부 산업에서의 효율성 저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주 4일제가 도입된다면 근로자들의 피로 회복이 가능하여

    산재 등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주당 근무일을 줄이면 일자리 창출, 생산성 향상, 직원의 스트레스를 줄이며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근로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임금이 삭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속감, 조직 적응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

    선택적 근로시간제 등 유연근로시간제를 활용하여 주 4일 근무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들도 있습니다.

    실제 유연근로시간제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들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면,

    1주에 4일을 근무일하고 3일을 쉬게 되면서 휴일이 늘어나서 근로자들의 워라밸(Work & Life Balance)가 좋아졌다는 응답이 있었고, 주 4일을 출근하다 보니 출퇴근 스트레스 등이 상대적으로 줄어서 좋다는 응답, 현재는 주5일을 근무하는 사업장이 많으므로 주 4일 근무를 하는 기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좋은 인재를 유입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장점으로 꼽았습니다.

    단점을 살펴보면, 현재 주 4일제의 경우 근무시간의 총량은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근무일수를 줄이는 경우가 많다보니 1일 근무시간이 기존보다 늘어나서 근무하는 날의 피로도가 높다는 점, 실제 사무실에 출근하여 구성원들 간에 소통할 수 있는 날이 줄어들어서 업무효율성 및 생산성 등이 떨어진다는 점, 업무 특성에 따라 주 5일을 근무해야 하는 경우 부서 별로 갈등이 발생하는 점 등을 단점으로 꼽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