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법률

가족·이혼

세상이 궁금한 고양이
세상이 궁금한 고양이

한국의 출산율은 심각한 수준입니다. 개선될 여지가 있을까요?

고령화로 유명한 일본도 출산율도 1 이상인데

한국은 이제 거의 0.6이 될 듯 한데

이정도면 나라가 망해가는 중인데

개선의 여지가 있을까요

이민을 받으면 된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스웨덴의 갱이나 일본의 베트남 범죄를 보면

그것도 좋은 방법은 아닌 듯 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표 변호사입니다.

    전세계 역사상 유래가 없는 출산율 폭락이기 때문에 마땅한 돌파구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경태 변호사입니다.

    개선이 되려면 출산율을 낮게 만드는 요소에 대한 개선책이 선행되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천우 변호사입니다.

    한국의 출산율 개선을 위해서는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주거 안정, 보육 및 교육 지원 강화, 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 결혼·출산에 대한 인식 개선 등 종합적인 정책이 요구됩니다. 출산율 제고를 위한 정부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투자와 사회 전반의 인식 변화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이민 정책은 인구 문제 해결의 한 방안이 될 수 있지만, 사회통합 문제 등 부작용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민자 선별과 관리, 다문화 정책 등을 통해 이민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출산율 개선을 위해서는 경제적 지원과 함께 일-가정 양립, 성 평등한 육아 문화 정착 등 사회 전반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합니다. 정부, 기업, 시민사회가 협력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해법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성훈 변호사입니다. 이민을 받지 않는다는 전제라면, 결국 출산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정부는 출산율 상승 정책을 오랜기간 펼치고 있으나, 효과가 발휘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길한솔 변호사입니다.

    출산율은 결국 사회적인 문제로 인한 것이므로 출산 장려나 지원, 육아 지원 등과 더불어,

    애초에 낮은 혼인율을 개선하는 것 역시 필요해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