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행복한망둥이
행복한망둥이

아이 훈육시에 주의사항을 알려주세요.

아이가 이제 제법 성장을 하다보니 훈육을 할 때 상당히 고민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제대로 아이들을 훈육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주의사항이 있다면 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부모님 자신의 감정을 먼저 안정시키고,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화가 난 상태에서의 훈육은 효과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이에게도 상처를 줄 수 있습니다.

  • 아이를 훈육할 때의 주의사항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훈육에 대한 원칙을 세워야겠습니다.

    훈육할 때는 화를 내거나 언성이 높아지는 것은 자제해야겠습니다.

    먼저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고 관찰한 내용을 말해줍니다.

    그런 다음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하고 부탁하고 싶은 말을 하고 마무리합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훈육을 할 때는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거나 아이를 비난, 비교하는 등의 행동은 조심해야겠습니다.

  • 아이의 훈육은 혼내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가치관과 행동방식을 가르치는 과정이기 때문에 교육의 목적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감정적으로 아이를 대하거나 폭력, 과도한 형벌은 피해야 합니다. 또한 아이를 비판하거나 비난은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할수 있기때문에 비난하지 않는 태도로 대화하며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원인을 알아내고 공감해주고 이해해주는 부분들이 필요합니다. 더불어 훈육을 할때는 일관된 태도로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잘못된 행동을 알려주고 바른 행동을 할수 있도록 가르쳐 주시는것이 아이의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을 훈육을 할때는 조심해주셔야 됩니다. 특히나 아이가 우리 부모님이 싫어해서 훈육한다는 느낌을 받지 않고 나를 위해서 훈육을 한다는 생각이 들도록 사랑을 듬뿍 주셔야 되겠습니다. 체벌을 하지 않으시고, 아이가 위험하거나 해서는 안되는 버릇없는 행위를 한다면 아주 독하게 교육을 해주셔야 아이의 버릇을 고칠 수 있기 때문에 명심하시는게 좋겠습니다.

  • 훈육을 할때는 절대 감정적으로 큰소리로 할필요가 없습니다.

    조용히 낮은 목소리로 하고, 일관된 자세로 합니다.

    일관된 자세는 내가 한말을 번복하거나 이랬다 저랬다 하지 않는 거죠

    같이 약속하고 같이 지켜나가는 겁니다.

  • 아기를 훈육한다는게 단순히 혼내고 잔소리하고 박지르는게 훈육의 전부가 아닙니다. 오히려 훈육을 할 때는 단호하고 객관적이며 카리스마 있게 말씀을 하셔야 합니다. 아이를 자극하거나 무시하는 발언을 하셔서는 절대 안 됩니다. 그리고 서로 간의 감정에 대해서 명확하게 파악을 하고 사실 관계를 확인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하셔야 합니다. 오히려 감정적 공감이 아이입장에서는 필요할 수도 있답니다

  • 훈육이라는 것은 아이가 바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해주시는 것인데요. 가장 중요한 것은 일관적인 행동으로 훈육을 해 주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말로는 안 된다고 얘기를 하셨는데 행동은 허용해 주신다면 아이에게는 큰 혼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한 행동에 대해 아이 입장에서 생각하셔서 바라봐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행동이 정말로 잘못된 행동인지 아니면 아이가 실수로 한 행동인지를 잘 판단하셔서 감정적으로 아이를 대하지 않도록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아이의 성격과 성향에 따라 훈육 방법이 달라지겠지요.

    아이를 훈육할때 제일 중요한 것 점이

    부모의 개인적 감정을 없애는 거 같아요.

    어려운일이죠.

    부모의 입장이 아닌 아이 입장과 눈높이에서 훈육하는 것이 제일 좋은거 같아요.

    아이를 훈육하다보면 나의 감정과 기분에 의해 아이에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거든요.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부모의 개인적 감정은 없앤 상태에서 훈휵하시면 좋을듯해요.

  • 아이훈육시주의할것은

    1.이전잘못까지훈육하지않는것

    2.화의감정을아이에게투사하지않는것

    3.아이의실수에대해 강하게이야기하지않기

    참고바랍니다

  • 훈육 이란 함은 잘못된 부분을 짚어주고 바로 잡아주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에게 큰 소리를 내거나 체벌을 해서 하는 것은 훈육이 아닙니다.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이 부분은 잘못 되었어 라고 말을 해주고, 왜 그 부분이 잘못 되었는지

    그 이유에 대해 부드럽게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아이의 시선으로 아이를 바라보고 아이의 마음과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한 후에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