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비둘기
비둘기

아이를 교육할때 강화를 사용하는데 정적강화와 부적강화를 같이 사용해도 무방할까요?

아이를 교육할때 제가 실천하는 원칙이 긍정적인 행동 시 정적강화를 제공하고 부정적인 행동 시 부적강화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문득 의문이 드는게 정적부적강화를 같이 사용해도 부작용 혹은 자녀교육시 리스크같은 것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개념에 대한 이해가 잘못 된듯 생각되는데요

      강화는 행동의 증가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정적강화는 칭찬이나 보상을 통해 행동을 증가시키고

      부적강화는 싫어하는 것을 제거하여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처벌과는 반대의 개념입니다.

      처벌과 강화는 사용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지게 되므로 신중하게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강화란?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조작적 조건화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입니다.

      * 정적강화란? 가치 있는 어떠한 것을 제공함으로써 바람직한 행동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 시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노트정리를 잘한 친구에게 칭찬을 해주면 그 결과 노트 정리를 더 잘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노트정리는 결과물 입니다. 그 결과물이 대해 보상개념의 칭찬을 했더니 더욱 더 노트정리를 잘한다는 것은 바람직한 행동(노트정리)를 더 잘하게끔 했기 때문입니다.

      * 부적강화란? 바라지 않는 어떠한 것을 제거하여 바람직한 행동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수업 시간에 집중을 잘하고 좋은 질문을 잘하는 친구에게 청소당번을 면제해 준다고 가정했을 때 교사의 이러한 약속을 위해 학생들이 집중을 잘하고 좋은 질문을 많이 한다면 이는 청소를 제거함으로써 교사가 의도하는 수업이 발생하는 이른 부적강화가 일어난 것입니다.

      따라서 부적강화는 행동을 약화시키거나 감소시키려고 의도된 벌과 구별 됩니다. 부적강화와 벌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의도하는 바가 다릅니다. 적용하다보면 그것이 부적강화 였는지 벌 이었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이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정적강화, 부정강화를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크게 문제될것은 없습니다

      어떤 상황인지 알수는 없으나 강화에 대해서 일정하게 시행해주면

      아이의 강화나 문제 행동 소거에 크게 문제가 없을것이니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되도록 아이가 잘한 행동을 했을 시 정정 강화를 해서 그 행동이 아이 스스로

      바람직 하다 라는 것을 알게 해줘야 그 행동을 강화하게 될 것입니다.

      부적 강화는 되도록 쓰지 않는 게 아이의 정서에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