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종종귀중한갈비탕
종종귀중한갈비탕

단시간근로자 시간외근무수당 계산법

단시간 근로자 고용해서 쓰고 있는데

급여명세서에 초과근무수당 입력할 때 어떻게 입력할지 헷깔려서요.

그날 시급은 급여에 포함하고 초과근무 수당만 적으면 되나요,

아니면 시급+초과근무 수당을 같이 적으면 되나요?

또 소득세랑 4대보험 같은 거 원천징수 할 때는

초과수당도 포함한 금액에서 하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

    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

    [질의]


    그날 시급은 급여에 포함하고 초과근무 수당만 적으면 되나요,

    아니면 시급+초과근무 수당을 같이 적으면 되나요?

    또 소득세랑 4대보험 같은 거 원천징수 할 때는

    초과수당도 포함한 금액에서 하는거죠?

    [답변]

    • 시급과 초과근로수당을 같이 적는 것이 아니라, 각각 분리하여 기재하심이 바람직합니다.

    • 또한, 세법 상 비과세가 적용되는 대상이 아니라면, 모두 원 급여에 합산 후 세금이 공제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 초과근로수당에 대한 산식을 기재하면 됩니다. 즉, "초과근로시간*통상시급*1.5"로 기재하면 됩니다.

    2. 네,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통상시급을 산정하여 그 값에 근무한 시간을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임금명세서는 각각의 항목을 별도로 표시해야 하므로 기본급과 초과근무수당을 별도로 적어야 합니다.

  • 정확한 사정은 모르겠지만 기본시급과 초과급여는 별도로 기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초과급여도 근로소득에 해당하기 때문에 세금 및 4대보험료가 공제되는게 맞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