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24.01.13

주변에서 부동산 임장을 다닌다고 이야기를 하던데 임의 도대체 뭘 말하는 것인가요?

대략적으로 임의 뜻을 추측하면은 부동산을 돌아다닌다는 것으로 보이는데, 부동산에서 말하는 임장이라는 것은 도대체 어디서 유래했고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경매에서 관습적으로 유래된 용어 랍니다

    임장은 부동산 경매를 할때 투자자들끼리 물건에 대한 현장답사를 다닌다는 뜻으로 알고있고 손님모시고 현장답사를 갈때 임장간다고 표현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임장은 '현장에 임한다'는 뜻의 일본식 한자어입니다. '발품을 팔다' 혹은 '방문하다'로 순화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쪽에서 쓰이는 단어로 부동산을 사려고 할 때 직접 해당 지역에 가서 탐방하는 것을 말합니다. 임장은 직접 생활할 집을 구하는 쪽보다도 투자목적으로 다니는 것을 주로 지칭하며 해당 지역 공인중개사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동산은 인터넷에서 볼 수 있는 것이 다가 아닙니다. 실제 가보고 그 동네의 분위기와 예비수요자들 그리고 앞으로 개발될 가능성 주변의 인프라를 직접 경험해야 알 수 있는 것들이 많습니다. 15분 정도 걸리는 장소라 하더라도 언덕이나 골목 등을 걸어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부동산을 매수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현장에 직접 다녀봐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임장활동이라는 것은 해당 부동산 내외부 상태 및 주변 환경을 둘러 보기 위해서 방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에서 흔히 발품이라고 하는 임장활동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지인의 소개로 부동산을 매수하기도 하지만 실제로 현장을 방문하여 눈, 귀로 ,질문으로 확인해야 하는 과정은 부동산을 구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오전,우후,새벽시간, 밤시간, 주중, 주말등에 따라 상권이 달라지니 확인은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거용은 오전, 오후 일조권 주변 편의시설도 임장으로 확인이 가능하고요.

    임장의 유래는 언제부터인지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인터넷이 발달하기전에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은 움직이지 않기에 직접 가봐서 봐야합니다.

    그것을 임장이라 표현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