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개나리5432
개나리5432

고양이 키우기 질문드려요~알려주세요

새끼 고양이 입양한지 이제 거의 두달이 다 되어가네요 ㅎㅎ

개월수는 4개월 다 되가는데 잠은 따로 잘려고 올때부터 교육을 시켜보고있어요 ㅎㅎ

이대로 쭉 분리 수면을 해도 괜찮은거겠죠~?

밥이랑 화장실은 자주자주 갈아주고 합니당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새끼 고양이 입양 후 두 달 정도라면, 고양이가 성장하면서 점차 독립적인 성격을 발휘하게 되는 시기인데요, 분리 수면은 사실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다만, 몇 가지 점을 고려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새끼 고양이가 아직 환경에 완전히 적응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조금 더 유연하게 대처해 주세요.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자신만의 패턴을 찾게 되고, 독립적인 행동을 보이기 시작할 것입니다. 따라서, 고양이가 분리 수면을 잘 하고 있다면 이대로 쭉 유지해도 문제가 되지 않아요. 단, 고양이가 불안해하거나 계속해서 함께 자려는 모습을 보일 경우에는 잠시 함께 자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제가 드린 답변이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고양이 분리수면 방법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고양이가 집사와의 분리수면을 적응 할 시간을 주는 것입니다.

    먼저 고양이의 스트레스 지수를 낮춰 주어 더 좋은 수면을 할 수 있도록 놀이 시간을 가져주세요.

    그 다음은 고양이만의 수면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함께 자전 잠자리 옆부터 시작을 해서 고양이가 낮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세요.

    마지막으로 수면 온도를 적정하게 맞춰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고양이의 밥과 화장실 관리를 꾸준히 해주고 분리 수면을 서서히 진행한다면 큰 문제 없이 안정적인 생활 습관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고양이는 주인의 관심과 애정을 느낄 때 더 행복해집니다. 함께 놀아주고 고양이가 좋아하는 환경을 조성하세요.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고양이는 기본적으로 독립적인 성향이 강한 동물이라 어릴 때부터 분리 수면을 교육하면 나중에 서로 독립적인 공간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처음에는 새끼 고양이가 분리된 공간에서 약간 불안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분리 수면 교육은 좋습니다. 고양이는 독립적인 동물이라 혼자자는데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밥과 화장실 관리도 잘하고 계시니 계속 좋은 습관을 유지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분리수면은 좋은 방법입니다. 고양이는 독립적인 동물이라 혼자 자는 것을 잘 받아들입니다. 계속 규칙적으로 밥과 화장실 관리를 해주면 건강하게 성장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지금분리수면이라연 이대로 쭉한다고해도 나쁠것은없기에

    잘관리해주시면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분리수면하셔도되고같이 자려고하시면그러셔도되고 질문자님 편안한대로 하시면됩니다.

    어떻게한다고해도 고양이삶에 문제될건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고양이가 밤에 자는 시간 동안 불안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증상만 보이지 않는다면 큰 무리는 없어 보입니다.

    지금처럼 생활 패턴을 잘 유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새끼 고양이는 분리 수면을 점차 익히면 좋습니다. 4개월이면 자립적인 수면이 가능하고 혼자 잘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훈련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올 때부터 분리 수면으로 교육을 하고 있고, 고양이도 이를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딱히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는다면 지금처럼 분리 수면을 이어서 해 주셔도 될 것 같습니다. 고양이의 이상 행동이나 불편함을 느끼는 징후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지금처럼 유지하시되 고양이의 반응을 자주 살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