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갑골 왼쪽이 계속쑤시는데 어디로가야할까요?

2021. 03. 30. 16:04

첨에 3주전부터 어께와 목사이 근육이 계속땡겨서

고개돌리기가 힘들어서

병원갈시간은없고 파스를붙여봤는데 그때잠깐뿐이고

한일주일지나니 괜찮아졌다가

일주일전부터 아픈부위가 견갑골까지 내려와서 기침심하게하면 통증이 오는데

한의원이좋을까요?

물리치료를 받아야하나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총 4개의 답변이 있어요.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목부터 목덜미 견갑골까지 근육이 이어져 있어서 불편한 증상이 아래로 내려왔을 겁니다. 견갑골 주위로 누르면 통증이 심한 부분이 있을텐데, 그 부분을 꾹꾹 눌러주시면서 풀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기침을 할 때는 근육이 움직이기 때문에 통증이 유발된다 볼 수 있습니다. 물리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으니 가까운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에 가보시기를 바랍니다.

서민석 드림

2021. 04. 01. 15:48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어깨통증으로 문의주셨습니다.
    갑자기 무리한 신체활동을 하거나 평소의 잘못된 자세나 맞지 않는 배개의 사용 등으로 인해 어깨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충분한 휴식 이후에도 어깨 통증이 장기화되고 점점 심화된다면 근처 정형외과에서 진료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참고로 아래 서울대학교에서 발간한 어깨 스트레칭 컬럼이 있어 첨부합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3226&cid=63166&categoryId=51020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2021. 03. 31. 15:24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확답하긴 힘들지만, 목디스크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목디스크의 원인


      - 퇴행성 변화(나이가 들면서 디스크 탄력이 감소합니다.

      - 일상생활 속 잘못된 자세 습관

      - 가벼운 생활 부상

      - 운동 중 부상


      목디스크의 증상

      - 목덜미, 어깨, 팔 등에서 저린 느낌, 통증이 있습니다.

      - 감각둔감(남의 살을 만지는 것 같은 느낌)

      - 팔다리에 힘이 없어짐

      - 보행 장애

      - 마비증상


      목 디스크의 치료

      - 비수술 치료

      안정, 보조기, 냉 또는 온찜질, 약물치료, 견인치료 운동 등

      - 수술

      2021. 03. 30. 22:17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덕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정황상, 근근막 통증 증후군이 의심됩니다.

        정형외과에 가시길 권합ㄴ비다.

        근근막 통증 증후군은 근육의 외상이나 과다한 사용, 정신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근육 또는 근막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얇고 투명한 막)에 통증 유발점이 발생하여 해당 근육의 통증과 이에 동반한 연관통, 운동 제한 등의 여러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흔히 ‘담에 걸렸다’라고 말하는 질환으로, 누구나 한 번쯤 걸리는 매우 흔한 질환입니다.

        2. 근근막 통증 증후군의 원인으로는 근육의 외상이나 과도한 사용,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자세 이상, 외상, 여러 근골격계 질환도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근근막 통증 증후군의 정확한 발생 기전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다만 근육의 과도한 사용, 근육의 지속적인 수축과 이완, 외상 등으로 인해 신경근 접합부에서 아세텔콜린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근 수축이나 주변 혈관의 압박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근육에 대한 영양과 산소 공급에 장애가 유발되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3. 근근막 통증 증후군의 증상으로는 근육통이 있습니다.

        1) 근육통은 자발통, 압통, 연관통 등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통증은 둔하고 쑤시며, 깊고 넓게 분산된 영역으로 나타납니다. 이로 인해 운동 범위에 제한이 생깁니다.

        2) 통증 유발점이란 약화된 근육이나 위축이 없지만 누르면 아픈 부위를 의미합니다.

        통증 유발점인 근육은 밴드처럼 딱딱합니다. 이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발생하며, 그 주변 부위에도 통증이나 저린 느낌 등이 느껴집니다.

        통증 유발점이 목 주위 근육이라면, 두통, 눈 주위의 통증, 귀울림(이명), 어지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통증 유발점이 어깨 근육이라면, 팔이나 손에 저리거나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듭니다.

        통증 유발점이 허리나 엉덩이라면 엉덩이와 다리가 저립니다.

        4. 진단

        근근막 통증 증후군은 객관적으로 진단할 검사나 영상 의학 검사가 없으며, 신경학적 이상도 확인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국소적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하며 통증 유발점을 압박할 때 압통이나 연관통이 발생하지만, 신경학적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 임상적으로 근근막 통증 증후군으로 진단합니다.

        5. 치료

        근근막 통증 증후군의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약물 치료

        소염진통제, 근육 이완제, 진정제, 항우울제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일시적으로 통증을 완화할 뿐이며, 근본적인 치료 방법이 아닙니다.

        ② 스트레칭

        통증을 유발하는 경직된 근육을 반복적으로 이완시켜 근육의 경직을 완화하거나 풀어주는 방법입니다.

        ③ 마사지

        눌렀을 때 통증이 가장 심한 부위를 엄지손가락으로 지그시 10여 초간 눌렀다가 떼는 행동을 반복합니다.

        ④ 물리 치료

        가장 전통적인 치료법입니다. 온도 차를 이용한 팩, 온열 램프, 한랭 치료 등이 있습니다. 또한 기계적 자극을 이용한 초음파 치료, 저에너지 레이저 치료, 전기 치료 등이 있습니다.

        ⑤ 통증 유발점 주사 요법

        근육 속에 존재하는 단단한 통증 유발점을 찾아 주삿바늘을 이용하여 정확히 파괴하면 근육의 경직이 풀리면서 통증이 완화되거나 사라지는 원리를 이용한 치료 방법입니다.

        근근막 통증 증후군은 진통제, 스트레칭, 동통점 차단술 주사, 물리 치료 등 여러 가지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그러나 자세가 계속 나쁘거나 평소에 운동을 게을리하면 치료 효과가 떨어집니다. 올바른 자세와 꾸준한 스트레칭이 치료와 예방에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6. 경과

        근근막 통증 증후군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주위 근육으로 통증 유발점이 퍼져서 통증 범위가 넓어지고 만성화될 수 있습니다.

        2021. 03. 30. 16:36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