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아파트보다 주택을 사는게 더 나을까요?
앞으로 아파트보다 주택을 사는게 더 나을까요
인구수는 계속 감소하고 지금도 미분양이 많이 나고 있는데 앞으로는 주택을 사는것이 더 낫나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수가 줄어 들지만 세대수는 증가를 하고 있습니다. 1~2인 가구가 전체 가구수의 절반을 넘었다고 합니다.
통상적으로 미분양이 발생을 하는 것은 인구수도 영향을 미치지만 지금의 상황으로 볼때 고금리의 장기화, 정부의 부동산 규제, 대출 규제, 고분양가등으로 미분양이 발생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에서 계속적으로 이렇게 부동산을 규제만을 할 수는 없습니다. 역사적 반복을 바탕으로 언젠가는 다시금 부동산 활성화 정책을 낼 수도 있습니다. 건설경기가 다시 활성화가 되면 다시금 아파트가격이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주택의 경우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경우 그 가치가 높게 형성이 됩니다만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아파트를 더 선호를 하므로 수요가 몰리쪽으로 가는게 맞지 않나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인구가 감소의 영향으로 단독주택을 선호하는 분들도 늘어날 것이지만 지방의 인구 소멸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서울 및 수도권으로 인구 이동이 급속도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서울 및 수도권은 주택을 공급할 토지가 없어 아파트 선호현상이 계속해서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까지는 주택보다 아파트를 매매하시는 편이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본인의 선호도에 맞게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주택은 관리하기 어려우며 건물의 노화속도가 아파트보다 빠를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건물가격은 0에 수렴하며 토지 값만 남게 됩니다.
또한 거래량에 있어서도 아파트가 상대적으로 주택보다 거래가 활발하여 매매에 수월 할 수 있스버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예전보다 인구수는 줄어들고 있습니다만, 1인이나 2인 등 소형 가족 가구수가 늘어서 세대수는 줄지 않았고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오히려 주민등록세대수는 2024년도 까지 계속 증가(서울의 세대수: 2011년 419만여 세대, 2024년 448만여 세대)하고 있습니다. 서울의 경우에는 각종 편의시설과 교육시설, 공공기관, 교통시설, 판매시설, 문화시설 등등 사람에게 필요한 모든 것이 설치되고 그와 관련한 수많은 일자리가 있으며 다양한 수요와 다양한 공급이 발생하고 제공되는데 반해 주택보급률이 2022년기준 93.7로 대부분 100을 넘긴 다른지역과 달리 주택 수요가 많아서 아직까지 상승여력이 있다고 봅니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아파트를 구입하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미분양이 나는곳은 지방과 소도시들이 많이 나고 있습니다
인구감소와 공급이 많은 지역들이 특히 그렇다고 보시면 됩니다
서울은 공급이 부족하고 그렇다보니 대체지역으로 수도권까지 분양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런부분을 감안해서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