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2.28

재건축 대상이 되려면 보통 얼마정도지난 아파트부터인가요?

재건축이라고 함은 아파트가 오래되서 하는데요.

통상적으로 몇년정도 지난 아파트가 재건축대상시 될까요? 요즘보면 40년이 지나도 안되는것 같은데 재건축아파트의 평균연차는 얼마나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1

    안녕하세요. 서주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재건축 연한은 30년으로 이기간을 충족해야 가능합니다.


    또한 노후화진단, 일정세대이상 면적등 다양한 조건들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재건축은 30년이 경과하면 재건축을 추친하고 있으나 무조건 재건축이 허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지자체장의 승인에 따른고,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입주민의 동의를 얻어야 진행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984년에 준공된 아파트는 20년 이상, 1990년에 준공된 아파트는 27년 이상, 1993년에 준공된

    아파트는 30년이 경과해야 가능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재건축은 일정한 년식이 되었다고 자동진행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재건축을 위해서는 안전진단이 필수이고 이러한 안전진단은 30년이 지나야 대상이 되기 때문에 보통 재건축은 30년이상된 아파트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재건축은 안전진단을 통과해야합니다. 노후된 아파트라도 안전진단에 통과 못 한다면 재건축이 되지 않습니다. 재건축은 평균 10년 정도 시간이 소요됩니다.


    재건축 안전진단이란 주택의 노후,불량정도에 따라구조의 안정성 여부, 보수비용 및 주변여건 등을 조사해 재건축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

    예비진단과 정밀안전진단을 순차적으로 실시하게되는데 예비진단의 평가항목으로는 지반상태를 비롯해균열, 노후화, 건물마감, 주차·일조·소음환경, 도시미관 등이 있습니다.

    정밀안전진단은 구조안전(40%), 설비성능(30%),주거환경(15%), 경제성(15%)의총 4가지 항목으로 평가됩니다.

    정밀안전진단은 A~E급으로 평가 결과가 나뉘는데

    E급 : 즉시 재건축 승인!!!

    D급 : 리모델링이나 조건부 재건축(재건축 시기조정)

    A-C급: 재건축 불가 평가 결과별로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개선안에서 변동된 사안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현재는 재건축요건이 완화되었습니다.

    첫번째는 평가항목별 가중치 개선안여기는 현행 가중치가 구조안정성에 50%를 두고 있는 반면에 개선가중치에서는 구조안정성 비율을 줄이고주거환경(주차대수, 층간소음 등)과설비노후에 동일한 비율을 적용하는데요.

    구조안정성은 건물이 안전하냐 못하냐를 의미하는과거와 비교하여 이것보다는주거환경 및 노후에 비중을 더 두고안전진단을 시행하겠다는 의미로 보입니다.

    두번째는 안전진단 판정기준 개선안인데요.기존에는 100점 만점 중 30점 미만의 결과값이 있어야재건축이었는데 (E급)

    이를 45점까지 완화시켜줬구요.조건부재건축은 45-55점으로 (D급)55점 초과는 유지보수 단계 (A-C급)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세번째는 적정성 검토 개선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적정성 검토라는 제도는위에 설명드렸던 D급에 대해 정비 필요성을 면밀히분석하기 위해적정성 검토라는 추가적인 검증절차를 마련한 것인데요.

    2018년에 도입된 이 적정성 검토라는 단계가 워낙도입된 이후 안전진단을 최종 통과한 단지가 정말 극소수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