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무난한황새43
무난한황새43

대한민국에서 중산층으로 살려면 소득과 재산기준은 얼마나 될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35

안녕하십니까.

요즘 물가가 상당히 올라 배달음식하나 먹으려고 해도 부담스러운데요.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으로 살려면 소득 및 재산은 어느정도 있어야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중산층에 대한 명확한 이론적 정의는 없으나, 관련 문헌에서 널리 활용되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중산층의 추이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가구의 소득을 쭉 늘어놓고 한가운데 소득(중위 소득)의 75~200%를 벌어들이는 가구를 중산층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삼게 되면 국내 4인 가구의 경우 올해 월 430만~1146만원의 소득을 올리면 중산층에 포함됩니다.

    즉, 연으로 환산한다면 약 5160만원 이상 ~ 1억 3천만원 정도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중산층이라는게 딱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이란게 없는거 같아요 설령 있어도 개개인이 느끼는 중산층 정도 차이가 크지 않을까요 저는 그래도 자가로 집 있고 소득수준이 한달에 세후로 600 전후면 중산층 같네용

  •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적 기준의 중산층 을 물어보시는 것 같은데요

    한국에서 중산층의 경제적 기준은 소득과 자산을 기준으로 정의합니다.

    4인가구 기준으로 중산층의 평균 순자산은 약 6.3억원, 월 소득은 약 625만원 수준이라고 합니다.

    *한국일보 23년8월 기사 참조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으로 분류되려면 일반적으로 가구 소득이 국가 중위 소득의 50%~ 150% 사이에 있어야 합니다. 4인 가구의 경우, 월 소득이 약 270만 원~ 790만 원 사이에 있으면 중산층으로 봅니다. 중산층은 주택 소유, 자녀 교육비 지출, 어느 정도의 여가 생활을 할 수 있는 경제적 여유를 가진 가구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중산층으로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서 중산층의 정의는 사람마다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라고해서 우리나라 국민의 총 가구의 월 세전 소득을 조사하여 오름차순으로 배열한 뒤 정확히 중앙에 있는 값을 매년 통계조사하는데요.

    2024년 통계에서 중위소득 자료는 1인가구: 2,228,445원 / 2인가구: 3,682,609원 / 3인가구: 4,714,657원 / 4원인가구: 5,729,913원입니다.

    OECD에서는 중산층을 중위소득 50~150% 사이에 있는 구간이라고 했으므로, 1인가구 기준 1,114,222.5원부터 3,342,667.5원 사이의 급여를 받는 사람을 중산층으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딱 얼마가 중산층이다라는 것은 없지만 통계로 보면 월소득 356~950만 원에 해당하는 4인 가구가 중산층에 속하며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가구 순자산 중간값이 약 2억 2500만원이므로, 1억 7천만원(상위 58%)에서 4억 5천만원(상위 29%) 정도가 중산층에 해당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 중산층으로 분류되기 위한 소득 및 재산 수준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음은 중산층을 가늠하는 데 중요한 몇 가지 지표입니다.

    1. 가구 소득

    중위 소득: 중위 소득은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가운데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2023년 기준, 월 소득으로 약 270만 원에서 810만 원 사이 정도입니다.

    2. 자산

    2023년 기준 한국의 평균 가구 자산은 약 5억 원에서 6억 원 정도로 추정되며, 중산층의 자산 규모는 이 평균을 기준으로 ±20~30% 범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주거 형태

    한국의 아파트 평균 가격이 2023년 기준 약 6억 원 정도이므로, 중산층은 이 가격 수준의 주택을 소유하거나 임대료를 감당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소비 패턴

    중산층은 일정 수준의 소비 여력이 있어야 합니다. 자녀 교육비, 외식비, 여가 활동 등에 적절히 지출할 수 있는 여유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재산 수준은 자료가 정확히 나오지 않지만 소득 수준은 중위 소득 기준으로 해서 카카구원 숫자별로 소득 통계가 잘 나와 있고 매년 나옵니다. 이 자료를 보시면 평균적인 소득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OECD에서 중산층의 기준을 설정한 것으로 보았을 때,

    소득 기준으로는 중위소득의 대략 75 ~ 200% 수준의

    소득이 있을 때 중산층으로 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