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DUWKWHWEKGUS
DUWKWHWEKGUS23.11.10

대기 오염이발생하면 왜 산성비가 내리나요?

산성비가 과거 대기오염이 심했을떄 많이 내렸다고 하는데요

대기가 오염되는거랑 비가 산성을 띄는 거랑 무슨 연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 오염은 주로 유해한 화학 물질들이 대기 중에 배출되어 발생합니다. 이러한 화학 물질들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소 이온과 결합하여 산성 물질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대기 중에 배출되는 주요 대기 오염물질 중 일부는 황과 질로 구성된 황산과 이산화질소입니다. 이 물질들은 공해원으로부터 배출된 후,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과 반응하여 황산과 질산을 생성합니다. 이산화황과 이산화질소는 대기 중의 수소 이온과 결합하면서 산성 물질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렇게 형성된 산성 물질들은 대기 중의 물방울과 함께 구름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산성성분을 포함한 구름이 비로 내리면, 그 비는 산성성분을 함유하게 되어 산성비로 알려진 현상이 발생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0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릴 때 대기에 먼지 오염물질을 같이 머금고 내려옴으로 대기오염이 심하면 비도 똑같이 오염이 됩니다. 대기 중에 질소 산화물이 많아지면 비가 내릴 때 산성비가 내립니다.


  •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성비는 대기오염물질이 대기 중의 수증기와 만나 황산이나 질산으로 변하면서 비에 흡수된 형태를 말한다.

    그럼 미세먼지와 산성비는 관계가 없을까인데 안타깝게도 매우 관계가 높다이다 석탄·석유 등 화석 연료를 태우면 대기오염 물질인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 등이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대기오염 물질이 대기 중 수증기에 녹아들어 엷은 황산·질산 용액이 되면서 빗물이 산성으로 변하며 산성비가 되는 것이라 미세먼지가 공기중 수증기와 함께 다니면서 비로 내릴때 우리는 자연스럽게 이런 미세먼지를 머리나 옷등에 흡수가 되는 것이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성비는 주로 대기 내에서 반응하는 산성을 생성하는 황과 질소 혼합물이 인간에 의한 방출로 유발됩니다. 근년의 많은 정부들이 이들 방출을 감축하는 법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산성비를 형성하는 이산화 황과 질소산화물은 대기로 배출된 후 장거리 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중국에서 배출된 다량의 이산화 황이 바람에 실려 우리나라까지 쉽게 유입되곤 합니다. 따라서 오염배출원에서 수백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지역에도 산성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비의 pH는 5.6 정도로 약산성입니다. 화학 물질과 결합한 비는 비의 산성도를 강화시키고, 이런 산성비가 지면에 떨어질 경우에 건축물들을 녹이거나 강과 호수의 동물들을 죽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