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섭취시 매운맛이 중화되는 원리는?
매운 음식의 열풍으로 각종 매운맛의 음식들이 인기를 끄는데요. 맵찔이들을 위한 대표적인 조치중의 하나가 우유 섭취를 통해 매운맛을 중화시키라고 합니다. 우유가 어떤 원리로 매운맛을 덜 느까도록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유를 마시면 매운맛이 쉽게 가시는데 이러한 비휘발성 매운맛이 무극성이기 때문에 우유 속 단백질인 카제인(casein)에 녹아서 넘어가기 때문이라고 한다. 계란 노른자에도 레시틴이라는 인지질이 있어서 우유와 비슷한 방식으로 매운맛을 중화시킬 수 있다.(출처 : 나무위키 - 매운맛)
쉽게 설명하면 매운것을 먹으면 혀에 남아있는 캡사이신 성분을 우유의 단백질 성분이 매운 성분을 분해해서 녹아서 넘어가게 되면서 혀에 있는 통각이 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유 등의 유제품에는 카제인이라는 단백질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매운 맛을 내는 캡사이신과 중화작용을 이루게 되는데 이 때문에 매운 것을 먹고 유제품을 먹으면 매운 맛이 덜 하게 되는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유안에는 매운맛의 주성분인 캡사이신을 중화시키는 성분이 함유되어있어 매운맛이 덜합니아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유에는 유지방과 유유 단백질이 이써 두 영야소가 혀에 남아 있는 매운성분을 분해하고 씻어내기 때문에 입안의 매운맛을 줄여줍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유가 매운맛을 중화시키는 원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우유에 함유된 단백질과 지방이 매운맛의 원인인 캡사이신을 흡수하여 중화시키는 것입니다. 캡사이신은 지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우유의 단백질과 지방과 결합하여 용해됩니다. 이렇게 되면, 혀에 붙어 있던 캡사이신이 떨어져나가고, 매운맛이 줄어들게 됩니다.
두 번째는, 우유의 칼슘이 캡사이신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캡사이신은 혀의 신경세포에 작용하여 통증을 유발하는데, 칼슘은 신경세포의 활동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따라서 우유를 마시면 칼슘이 캡사이신의 작용을 억제하여 매운맛을 덜 느끼게 됩니다.
실제로, 우유를 마시면 매운맛이 덜 느껴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2013년 미국의 한 연구에 따르면, 우유를 마신 사람은 마시지 않은 사람에 비해 매운맛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맵찔이라면 매운 음식을 먹은 후 우유를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우유 외에도 요구르트나 치즈와 같은 유제품도 매운맛을 중화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유를 마시는 것은 매운맛을 중화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우유 안에 있는 단백질 성분이 매운 성분과 결합하여 매운 성분의 신경 자극을 줄여주며, 지방 성분이 매운 성분을 둘러싸고 있어 매운 성분이 혀에 닿는 것을 막아줍니다. 그리고 우유 안에 있는 칼슘 성분은 매운 성분과 결합하여 중화시키는 능력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유를 마시는 것만으로 매운맛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으며, 우유를 충분히 마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운 음식을 먹은 후에는 적당한 양의 우유를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유에는 지방과 단백질이 풍부합니다. 지방과 단백질은 매운맛을 내는 물질인 캡사이신을 흡수하여 입안의 매운맛을 줄여줍니다. 캡사이신은 지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지방과 단백질과 결합하면 물에 녹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우유를 마시면 캡사이신이 입안에서 빨리 씻겨나가고, 매운맛이 덜 느껴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매운맛의 본질은 캡사이신인데 이는 지용성입니다. 우유도 지용성이기 때문에 우유를 마시면 캡사이신이 씻겨 내려갑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유를 마시면 매운맛이 쉽게 가시는데 이러한 비휘발성 매운맛이 무극성이기 때문에 우유 속 단백질인 카제인(casein)에 녹아서 넘어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계란 노른자에도 레시틴이라는 인지질이 있어서 우유와 비슷한 방식으로 매운맛을 중화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