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약·영양제

영양제

여름하늘
여름하늘

동물성 오메가3와 식물성 오메가3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38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지금까지는 생선에 추출한 동물성 오메가3만 구매해서 섭취해왔는데, 요즘 보면 식물성 오메가3라는 것도 팔더라구요.

동물성 오메가3와 식물성 오메가3의 작용기전과 효능이 다른건지 ...... 그게 아니라면 명칭만 다르게 구분을 한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동물성 오메가 3와 식물성 오메가3는 우선 DHA 와 EPA 구성에도 차이가 있고 오메가 3 함량은 동물성이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식물성 오메가 3는 역한 냄새나 위장장애가 덜한편입니다. 때문에 동물성에 위장장애나 역한 냄새를 느끼신 분들이 식물성 오메가 3를 선택하시는경우가 많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식물성에는 보통 dha가 많이 들어가거나 dha만 들어가 있습니다. 동물성은 어류에서 추출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에는 epa와 dha가 같이 들어가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주로 생선 엔초비 등에서 추출한 것이 동물성 오메가3이고

    이에 비해 식물에서 추출한 것이 식물성 오메가3입니다 ㅡ 체식주의자용

    동물성 오메가3와 식물성 오메가3의 작용기전과 효능이 다른건 아닙니다

    원료를 어디에서 추출했냐에 따라 명칭만 다르게 구분을 한 겁니다.

  • 안녕하세요. 오환영 약사입니다.

    동물성 오메가3와 식물성 오메가3는 원료의 차이가 가장 큽니다. 동물성은 주로 생선에서, 식물성은 조류에서 원료를 추출해서 제품화합니다.

    동물성과 식물성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복용 목적이나 개인차에 따라 제품을 선택하면 됩니다.

    동물성오메가3는 비린내로 불편을 호소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제품에 따라 동물성이라도 개선된 제품이 많이 나오지만, 식물성을 선택하시면 비린내가 적습니다.

    오메가3는 주로 EPA+DHA로 이루어져 있으며,

    식물성 제품 중에는 DHA가 특히 많이 든 제품이 많습니다. 

    (EPA-심혈관질환 예방, 우울증/

    DHA-인지능력, 중성지방저하, 임산부 수유부 특히 추천) 와 같은 차이가 있으며 복용 목적에 따라EPA+DHA가 적절한 용량으로 조합된 제품을 선택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길병철 약사입니다.

    동물성 오메가의 경우, EPA, DHA로 구성되어있으며, 주로 어류에서 추출되어 만들어집니다.

    체내 흡수율과 생체 이용률이 높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식물성 오메가는 미세조류, 아마씨유, 들기름 등에서 추출되며, ALA(알파리놀렌산)이 주 성분입니다.

    이는 체내에서 DHA, EPA로 일부 전환되어 사용되나, 전환률이 낮으며 체내에서 사용되는 양이 적습니다.

    흡수율과 생체이용률은 동물성 오메가3가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식물성 오메가3는 비린내, 산패 위험이 적고, 소화장애가 낮은 편입니다. 또한, 중금속 오염이 낮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효능의 경우는 동물성 오메가3가 좋으며, 오메가3의 직접적인 건강효과는 EPA, DHA에 의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의사의 진단, 처방을 대신할 수 없는 점 미리 알려드려요.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경 약사입니다.

    말그대로 오메가3 원료를 동물 즉 어류나 조류에서 추출했는지 식물에서 추출했는지 를 구분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