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부녀회장
부녀회장

혀 감각이상은 도대체 어느과로 가야되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46

혀 앞쪽 일부분 감각이 얼얼한것 같기도 하고 마취가 덜풀린것같은 느낌같기도 하고 그렇거든요

뜨거운거 먹고 데인것같은 느낌같기도 하구요

10일정도됐는데...

미각을 못느낀다거나 만졌을때 감각이 없다거나 하지는 않아요

이비인후과를 가보긴 했으나 신경안정제를 가루로 갈아서 혀앞쪽에 발라보라고 하시는데...

좀 의아해서 아직 해보진 않았구요...

혀앞쪽이 약간 부어있다고 하시더라구요

사람들 말이 구안와사 전조증상일수도 있다고해서

신경과쪽으로 진료보려고 여러병원 전화드려봤는데 신경과에서는 진료안봐주신다고 하는데

어디로 가야 정확하게 진료볼수 있는걸까요?

그리고 혀 감각 이상이 구안와사 전조증상일수 있는건가요?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혀 감각 이상으로 불편함을 느끼고 계신 것에 마음이 무겁습니다. 혀의 감각 이상은 여러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으며, 어느 과를 방문해야 할지 혼란스러우실 수 있습니다. 혀 앞쪽이 얼얼하거나 마취가 덜 풀린 것 같은 느낌은 일반적으로 신경 관련 문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이비인후과는 물론, 구강 내 이상이 있을 경우 구강악안면외과 또는 치과에서도 진료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신경과는 일반적으로 신경 관련 문제를 다루지만, 혀 관련 증상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검사 및 진료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혀가 부어있다는 말씀을 들으셨고, 사람들로부터 구안와사 전조증상일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셨다니 걱정이 클 것 같아요. 구안와사의 전조증상으로 흔히 얼굴에 갑작스러운 근육 마비가 나타날 수 있지만, 혀 감각 변화만으로 전조증상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걱정이 된다면 신경과 의사와의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증상이 구안와사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지는 추가적인 진찰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신경안정제를 가루로 가는 방법에 대해서도 이비인후과 의사의 판단에 따라 권장된 방법일 수 있습니다. 다만, 섭취 방법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의사와 상의하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여러 병원에 전화를 해보셨지만 답답한 느낌이 드셨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대학병원의 구강악안면외과 또는 통합 진료 센터를 방문하셔서 보다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여러 병원에 전화를 해보셨고 아직 해결책을 찾지 못해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미각이 안 느껴지거나 만졌을 때 감각이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신경계 문제보다는 감각 과민이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비인후과 진료 후 설명 들으신 것과 같이 처치해 보실 것을 권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혀 앞쪽의 감각이상 증상은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고, 접근도 복합적입니다. 신경과, 이비인후과, 구강내과 또는 치과 구강외과까지 연관될 수 있어요. 단순한 데임이나 염증, 비타민 부족(특히 B12 결핍), 알레르기 반응, 혹은 말초신경의 압박이나 손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혀끝 감각 이상이 지속되는 경우, 특히 부종이 동반된다면 단순 자극 이상의 원인을 의심해야 하므로, 대학병원 구강내과 또는 신경과 방문을 권장드립니다. 일반 신경과 의원에서는 거절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형 병원 신경과나 통합진료가 가능한 곳에서 먼저 예약을 시도해보세요.

    한편,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의 전조증상은 대부분 귀 주변의 통증, 얼굴의 뻣뻣함, 눈 감기 어려움 등이 먼저 나타나며, 혀 감각 이상은 혀의 뒤쪽 1/3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지금처럼 혀 앞쪽에서만 감각 이상이 나타난다면, 구안와사 전조로 보기에는 비전형적인 양상입니다.

    하지만 예민한 부위이므로 무시하지 마시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 구강내과나 대학병원 이비인후과, 필요시 신경과 협진을 받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