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상담
심장병이 있는 사람이 저염식을 하면 위험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67
기저질환
협심증
복용중인 약
심장약
심장약 을 먹는 남편이 요즈음 짜게 먹습니다 저염식이 심장경 환자에게는 안좋다는 말이 있던데 정말 그런지요? 짜게 먹어도 괜찮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극단적인 저염식은 문제가 될 수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저염식을 해서 문제되는 경우는 특히 한국에서는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한국인 입맛 기준으로는 싱겁게 먹는게 무조건 좋을 거 같네요. 짜게 먹으면 여러모로 악영향이 훨씬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심장약을 복용한다면 수분의 저류와 고혈압을 주의해야 합니다. 짜게 먹으면 몸도 붓고, 혈압도 올라가서 좋지 않습니다. 짜게 먹는 것이 좋지 않지, 저염식은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나트륨은 체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해질로, 심장 기능, 혈압 조절, 체액 균형에 중요합니다. 심장병 환자의 경우, 특히 심부전이 있는 경우, 나트륨 섭취를 지나치게 제한하면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지거나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때때로 심장 기능 악화나 다른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고염식이 권장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대부분의 심장병 환자에게는 여전히 저염식이 권장되며, 이는 고혈압, 심부전, 관상동맥 질환 등 심장 질환의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염식은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부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