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아이에게 좋은 부모님이 되려면 어떤점을 신경써야 할까요?

요즘 들어서 아이를 혼내기만 하고 아이가 저만 보면 슬슬 피하니 마음이 좋지 않습니다. 저는 아이를 위해서 훈육을 했는데 아이가 자꾸 저를 피하니 저의 방식이 잘못되지 않았나 생각되네요. 아이에게 좋은 부모가 되려면 어떤 점을 신경써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에게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어떤 점을 신경 써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무조건적인 사랑 표현하기, 감정에 공감하고 존중하기, 일관된 규칙과 훈육, 아이의 개성과 속도 존중ㅇ하기, 말보다 행동으로 보여주기, 자기 돌봄도 중요, 함께하는 시간의 질 높이기 등입니다.

    이러한 태도는 아이의 자존감, 정서 안정, 사회성 발달에 큰 영향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를 혼내고 나서 아이가 피하는 모습을 보면 부모로서 마음이 참 힘들고 괴로울 수 있어요.

    훈육을 하려는 마음은 아이를 위한 것이지만 아이가 부모를 피한다면 내가 너무 강하게 했나 싶기도 하죠. 아이에게 일관된 규칙과 안정감을 주는 것이 필요하지만 그것을 전달하는 방식에 있어서 너무 강압적이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해요. 자기 감정도 조절하면서 아이와 소통하는 것이 정말 중요한데그렇게 하면 조금씩 아이와의 관계가 개선될 거예요.

    부모님의 마음은 늘 아이를 위해 좋은 길을 가게 하려는 것일 테니 그 마음을 잃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아이와의 대화를 늘 열어두고 시간을 함께 보내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다면

    단호하고 일관성 있는 태도로 아이의 훈육을 하여 아이의 잘못된 부분의 행동을 지도하여 개선시켜 주는 것은

    아이가 바른 마음, 바른 정신을 가지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하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훈육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님의 감정이 커서는 안 된다 라는 것입니다.

    즉, 부모님의 감정을 조금 차분히 가라앉히고,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아이의 마음을 충분히 이해 한 후에

    훈육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감정을 공감한 후,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하여 아이를 이해시키고 아이의 마음을 다독여 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애정을 표현하는게 필요하며 같이 여행을가거나 놀이를 같이 해주시면 좋을수있겠네요

    감정적으로 대하지 않는게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훈육은 혼내기만 하는 게 아니라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가르침이 있어야 합니다.

    우선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왜 규칙을 지켜야 하는지 아이 스스로 이해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지키도록 노력하고 시도 할 때는 칭찬을 많이 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훈육보다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는 태도가 필요한 상황으로 보입니다. 아이가 잘한 점을 자주 칭찬하면서 자신을 심어 주시기 바랍니다. 혼낼 때에는 행동에만 집중하고, 아이의 인격을 비난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평소에 가벼운 스킨십이나 대화를 자주 하면서 정서적인 연결과 유대감을 강화하면 도움이 돼요. 아이가 피할 때에는 잠시 거리를 두고, 천천히 다가가서 마음을 열 수 있도록 기다려 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를 혼내는 훈육도 필요하지만, 아이가 부모를 피한다면 관계 회복이 중요합니다. 먼저 칭찬과 애정을 충분히 표현해 아이가 안전함을 느끼게 도와주세요. 훈육시에도 감정을 다스리고 차분하게 설명하며, 이유와 기대를 명확히 전하는 것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