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기쁜향고래의 노래
기쁜향고래의 노래

기축 통화에 속하는 통화는 어떤 통화가 있을까요?

국제적인 무역 거래에서 대금을 지불하는 대 사용할 수 았는 통화를 기축 통화라고 하는데요, 기축 통화에 속하는 통화는 어떤 통화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기축통화는 국제외환시장에서 금융거래 또는 국제결재의 중심이 되는 통화를 말하며, 미국 달러가 이에 속합니다.

    기축통화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군사적으로 지도적인 입장에 있어 전쟁으로 국가의 존립이 문제시 되지 않아야 하며, 기축통화 발행국은 다양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통화가치가 안정적이며, 고도로 발달한 외환시장과 금융ㆍ자본시장을 갖고 있어야 하며, 대외거래에 대한 규제도 없어야 한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현재 전 세계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기축통화는 달러화입니다. 그러므로 기축통화라고 하는 전 세계에서 공용으로 사용되는 통화는 USD 달러화이며, 중국의 위안화의 경우에도 전 세계 사용량으로 봤을 때는 상위권에 사용되는 통화이나 기축통화 만큼 많은 다양한 나라가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추가로 유로화의 경우에도 유럽연합을 기준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통화로서 유럽권에서는 기축통화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기축통화란 전세계 거래의 기준이 되는 통화로 개인적으로는 USD가 유일한 기축통화라고 판단됩니다.

    다만, 추가적으로 기축통화 급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것이 EUR, CNY, JPY라고 판단되며 이는 USD 제외하고 유의미한 거래량을 지닌 통화이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현재 명확히 무엇이 기축통화냐를 확실히 정의하는 지침은 없지만, 미국의 달러가 기축통화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중앙은행들의 외환보유고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제 무역과 금융 거래의 주요 통화로 사용되고 있으며, 미국 달러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파운드화를 대신하여 기축통화의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경제의 강력한 성장과 브레튼 우즈 체제 도입으로 미국 달러는 명실상 세계 경제의 중심 통화가 되었지만, 하지만 최근에는 유럽 연합의 유로, 중국의 위안 등 다른 통화들이 강화되면서 미국 달러의 지배력이 다소 약화되고 있기도 합니다.

  • 기축통화는 국제간의 결제나 금융거래의 기본이 되는 통화를 지칭합니다. 이러한 통화는 국제적으로 널리 인정되며, 대표적으로 미국 달러가 이에 해당합니다. 그 외에도 유로, 엔, 파운드, 스위스 프랑, 중국 위안 등이 기축통화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기축통화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먼저, 해당 통화는 자유교환성 내지는 자유대체성을 가져야 합니다. 또한, 국제적 신뢰를 얻고 있어야 하며, 통화가치의 안정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국제결제통화로서의 수요와 공급도 충분해야 하며, 해당 통화를 보유한 국가의 금융시장도 발전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시킴으로써 특정 통화가 기축통화로 통용될 수 있습니다.

  • 전세계적으로 기축통화라고 불릴만한 화폐는 엄격하게는 미국달러화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 이외에 기축통화의 지위를 가질만한 화폐는 지금으로서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기획재정부에서 안내하는 기축통화에 대한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moef.go.kr/sisa/dictionary/detail?idx=737

    감사합니다.

  • 경제용어의 설명에 따르면

    "국제외환시장에서 금융거래 또는 국제결재의 중심이 되는 통화. 대표적으로 미국 달러가 이에 속한다.

    기축통화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군사적으로 지도적인 입장에 있어 전쟁으로 국가의 존립이 문제시 되지 않아야 하며, 기축통화 발행국은 다양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통화가치가 안정적이며, 고도로 발달한 외환시장과 금융ㆍ자본시장을 갖고 있어야 하며, 대외거래에 대한 규제도 없어야 한다.

    역사적으로 영국의 파운드화, 미국의 달러를 기축통화로 부른다. 영국의 파운드화는 19세기 중반 이후 국제금융의 중심지로서 영국이 가진 강력한 세력을 배경으로 기축통화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으로 유럽 각국의 경제가 피폐해졌고, 미국은 전쟁 특수로 경제가 급성장하였다.

    이후 미국의 경제력과 국력을 배경으로 미국 달러가 명실 공히 기축통화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최근 들어 미국 달러화에 대한 신인도가 예전과 같지 않는 등 기축통화로서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 기축통화인 달러화를 대신할 통화로 유로화, 중국 위안화 등이 후보로 거론되지만 기축통화로서의 조건인 신뢰도나 사용도 면에서 보면 아직도 미 달러화와 비교가 안 된다. 더욱이 중국은 환율을 통제하는 등 자유로운 거래라는 기축통화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의 설명을 참고 할 수 있습니다.

  • 현재 국제 금융 시스템에서 인정받는 주요 기축통화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국제통화기금(IMF)이 인식하는 기축통화에는 호주 달러, 영국 파운드 스털링, 캐나다 달러, 중국 위안(렌민비), 유로, 일본 엔, 스위스 프랑, 그리고 미국 달러가 포함됩니다. 이들 통화는 각국의 외환 보유고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국제 무역과 금융 거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미국 달러는 가장 중요한 기축통화로, 글로벌 외환 보유액의 약 5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경제의 규모와 안정성, 그리고 달러가 국제 무역에서 표준 통화로 널리 사용되는 이유 등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많은 국가들이 외환 보유고를 달러로 유지하는 이유는 달러가 국제 금융 시스템에서 신뢰받는 통화이기 때문입니다. 미국 달러는 또한 국제 상품 거래에서도 주요 통화로 사용되어, 석유, 금 등 다양한 원자재 거래에서 표준 통화로 기능합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미국 달러는 글로벌 경제에서 가장 많이 보유되고 사용하는 기축통화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