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걸렸을 때 키스를 하면 정말 빨리 낫나요?
의학적으로 맞는 말인지 모르겄는데 감기에 걸렸을 때 키스를 하는 것이 감기 예방 및 감기를 빨리 완화시킬 수 있다고 하던데 정말 맞는 얘기인가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감기에 걸렸을 때 키스를 하면 감기 예방이나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은 의학적 근거가 부족합니다. 오히려 감기 바이러스는 침, 가래, 코점막 분비물 등을 통해 전파되므로, 키스는 감기 전염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감기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마스크 착용,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한 면역력 강화 등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감기에 걸렸을 때는 안정을 취하고, 필요하다면 해열제, 진통제 등 대증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감기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 키스를 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감기 증상이 있을 때는 키스를 자제하고, 가족이나 동거인에게 전염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처음 들어보는 민간요법인 것 같습니다
키스를 한다고 감기에서 빨리 회복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기에 걸렸을 때 키스를 하는 것이 감기를 빨리 낫게 해준다는 의학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사실이 아닌 이야기입니다. 오히려 키스를 통해서 타인에게 전염을 시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감기에 걸렸을 때 키스를 하면 감기가 빨리 낫는다는 주장은 의학적 근거가 부족합니다. 감기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라이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 다양한 바이러스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바이러스들은 호흡기 비말을 통해 전파되며, 키스를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습니다.
키스는 사랑과 애정을 표현하는 행위이며,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심리적 안정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 일정 부분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감기 바이러스 자체를 제거하거나 치료하는 직접적인 효과는 없습니다. 오히려, 감기에 걸린 사람과의 밀접한 접촉은 감기 바이러스를 상대방에게 전파할 위험이 있어,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일시적으로 피하는 것이 권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