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날씬한숲제비248
날씬한숲제비248

요산 수치 7.1 ,요산 결정일까요? (발작 경험x)

나이
25
성별
남성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왼발에 비해서 오른쪽 엄지 발가락 관절이 더 크고, 눌렀을 때 살짝 아픕니다. 덩어리 같은 게 느껴지는 것 같아요. 밤, 새벽에 욱신거리는 느낌이 듭니다.

최근에 내과 방문해서 요산 수치 검사했을 때 요산 수치가 7.1이 나왔고, 발작이나 열감은 없는걸로 보아 의사분은 통풍은 아닌 것 같다 하셨습니다. 정형외과나 류마티스내과를 가봐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이미 검사를 받아보셨고 말씀하신 내용으로 봐선 통풍으로 보이진 않습니다만 (요산 결절은 특정 검사를 해봐야 있는지 없는지 알수있습니다) 뼈나 관절 관련 이상이 있나 확인하시려면 정형외과 검사 받아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급성기 염증 반응은 없는 상태로 통풍 발작을 의심하기는 어려워 보이는 것이 맞습니다. 그렇지만 확실하게 차이가 나고 특히 통증 등 증상이 있다면 결정 형성 여부를 파악해보기 위해서 자세하게 진료 및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관련하여서는 정형외과나 류마티스내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규민 물리치료사입니다.

    오른쪽 엄지 발가락의 크기 증가와 통증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요산 수치가 높지만 의사가 통풍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다른 관절 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일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나 류마티스 내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의가 더 깊은 평가와 진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오른쪽 엄지 발가락 관절의 부풀음과 통증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요산 수치가 7.1로 통풍 가능성이 낮다고 하더라도 정형외과나 류마티스내과를 방문하여 추가적인 평가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의의 진단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현재 수치로 보았을때 요산 수치가 경계선에 있고 발가락 관절이 커지고 눌렀을 때 통증이 있으며 밤과 새벽에 욱식거리는 느낌이 든다면 정밀 검사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통풍일 가능성도 있지만 아닐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초기 통풍일 수도 있지만 기타 다른 관절 문제 일 수도 있는데 의심되는 것으로는 관절염일 가능성이 있으며 오랜 시간 잘못된 보행이나 혹은 꽉 끼는 신발 착용으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관절 주변에 덩어리가 만져지는 것은 지방종이나 활액낭염일 수도 있습니다.

    손으로 눌렀을 때 물컹한 느낌이 든다면 관절액이 부풀어 올랐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먼저 정형외과에 방문하시어 관절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필요시 요산 결정 검출을 위한 검사도 같이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형외과에서 검사를 하였는데도 크게 문제가 없다면 류마티스 내과에 방문하시어 관절염 검사 받아보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발가락쪽으로 증상이있다면 일단 휴식을취하면서 차가운냉찜질을 하는것이 도움이될수있습니다 요산수치나 통풍과같은 질환이아니라면 관절자체의 염증이나 과사용으로인한 증상일수있으니 병원에서 검사를받아보시고 본인에게 필요한 치료를처방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일단 집주변 정형외과를 먼저 방문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요산수치는 성인남성의 경우 3.4에서 7.0까지가 정상범위인데요, 정상범위를 초과하였지만 미미한 수준의 수치와 발작이나 열감이 없는 통풍이 의심되지 않는 소견이라면 근골격계 진료과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근골격계의 원인에 의해 발생한 통증이나 불편감이 아닌 경우에는 류마티스내과와 같은 진료과에 방문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