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에루샤에서 에르메스가 LVMH나 샤넬을 모두꺽고 세계 시총 1위 명품기업으로 돌아선 배경이 무엇인가요

에루사하면 최고가 명품중 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인데요 이런 명품 사치재 브랜드에서 에르메스가 매출이나 이익률이 견조하게 성장하며 세계 시총1위로 돌파를 한 배경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에루샤는 명품 브랜드중에서 가장 상위급으로 평가받는 핵심티어입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에르메스와 루이비통 샤넬과는 극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루이비통과 샤넬은 먈이 초고가 명품브랜드이지 실질적으로 타겟을 하는 소비층은 상류층이 아니라 선진국의 중산층이 주요 타겟층입니다 이말은 중산층은 경기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지금과 같이 물가가 오르고 침체시기에는 오히려 소비를 극명하게 줄이며 이런 명품 사치재에 대한 소비를 줄일 수밖에없습니다

    그러나 에르메스는 이들과는 아예 본질적으로 가격이나 추구하는 브랜드가치도 다르며 구매할 수 있는 방법도 기존의 구매이력제나 철저한 회원제들로만 물건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즉 이들의 타겟층은 철저한 부유층과 상위층이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이들은 경기에 사이클과 상관없이 소비가 일정하기 때문에 전혀 불황에도 타격이 없는것입니다

    특히 샤테크과 같은 명품백 테크도 에르메스에서는 전혀 들어볼수없습니다 에르메스테크를 한다고 사재기를 하는경우는 들어본적도 없습니다 물론 에르메스도 리셀가가 매우 비싸긴하지만 에르메스는 이런 테크와는 거리가 있는 재화입니다.

    그이유는 상위층은 에르메스백을 수집하지 경기가 힘들다고 오히려 이를 되팔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이런 특성으로 에르메스만 고공행진을 한다고 보시면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 내수경기 침체와 더불어 미국 시장의 부진,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위협까지 겹쳐 수익성이 악화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면서 LVMH가 에르메스에 시가총액 1위를 내줬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에르메스는 한정된 생산량과 장인정신 기반의 제품 전략으로 희소성과 프리미엄 가치를 극대화하며 브랜드 충성도를 확보했습니다. 고급화 전략으로 수익성도 타 브랜드보다 뛰어나고 중국, 미국 고소득층 수요 증가도 호재로 작용해 시총 1위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에르메스가 요즘 정말 독보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말, 괜한 게 아닙니다. 루이비통이나 샤넬처럼 확장이나 대중화에 무게를 둔 브랜드와 달리, 에르메스는 제품 수량도 한정적이고 매장도 엄청 제한적입니다. 희소성을 마케팅이 아니라 진짜 운영 철학으로 가져간 셈인데, 그게 오히려 프리미엄 가치를 더 확고히 만들었다고 봅니다. 게다가 대부분의 제품이 자체 공방에서 제작되고, 인력도 직접 키우다 보니 브랜드 품질 통제가 훨씬 정교합니다. 가격은 높지만 고객 충성도는 되려 더 단단해지는 구조라 이익률도 탄탄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분위기상 명품 소비가 줄어들 듯 보이지만, 에르메스는 오히려 기다려야 살 수 있는 브랜드라는 점에서 지금 같은 고금리 시대에도 크게 흔들리지 않는다는 게 핵심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에르메스가 세계 시총 1위 명품 기업이 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이는 LVMH 등의 기업들의 실적이 저하되었기에

    이 기회를 틈타서 에르메스가 1위 명품 기업이 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세계 명품들 중에서 가장 고가이며

    더불어서 이에 따른 수요가 여전히 견고하기에

    주가 또한 상당히 높게 된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