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늠름한댕댕
늠름한댕댕

팔목에 조금한 혹같이 생긴게 결절종이라는데..

성별
여성
나이대
53

엄마 팔목에 조금한 혹같이 조금하게 생긴게 있어서 병원에 갔더니 결절종이라고 합니다.

의사 쌤 말로는 많이 그러지 않아서 나둔다고, 약물 치료도 별도로 없다고 했다네요.

크게 부풀면 빼내고 빼내고 반복한다고 하는데, 결절종이라는건 재발이 되기 쉬운건가요?

커지지 않는 이상 그냥 냅둬도 되는건지, 위에 말처럼 부풀면 빼내고 또 생기면 빼내고 이런 방법밖에는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네 주사기로 빼내거나 수술적 치료를 하더라도 곧 다시 생기기도 합니다.

      크게 불편한게 없다면 지켜보시면 됩니다.

      자연스럽게 터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어머니께서 결절종을 진단받아 걱정스러우시지요. 말씀하신 것처럼 결절종은 경과를 관찰하거나 크기가 커지면 주사로 빼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자연히 터져버리는 경우도 있고, 질환 자체가 위험한 병이 아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손을 자주 사용하지 않으시는게 좋겠고 불편감이 너무 심하면 수술을 고려하기도 하지만 이는 정형외과 의사와의 상담이 필요한 부분이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손목에 생기는 결절종은 결국 많이 손을 써서 생기는 겁니다. 완전 제거를 하게 되면 없어지구요. 주사기로 물만 빼내면 재발을 잘 합니다. 크게 불편하지 않다면 그냥 놔두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결절종은 특별한 증상이 없다면 치료를 하지 않고 경과를 보셔도 됩니다. 관절액이 흡수되면서 저절로 사라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결정종으로 인하여 통증이나 저림, 불편감이 심하다면 수술적 치료를 할수도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결절종은 종종 자연적으로 없어지거나, 스스로 없어졌다가 다시 재발되기도 한다. 결절종은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 없을 때가 많다. 그러나 결절종임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통증이 있는 경우, 신경 등 주위 조직을 압박하여 신경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또는 미용상의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 방법은 외부에서 압박하여 피막을 파열시키는 방법, 주사기로 흡입하는 방법, 그리고 수술적으로 절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손등 쪽에 있는 결절종은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손목 관절을 구부린 상태에서 책으로 내리치면 파열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수술 상처가 남기를 원치 않는 젊은 환자의 경우 특히 유용하다. 손목 관절의 앞쪽에 생긴 결절종은 압박에 의해서는 잘 파열되지 않는다. 주사기로 흡입하는 경우 재발률이 높고, 수술적 절제술은 가장 확실한 치료방법이다. (서울대 병원 홈페이지)

      수술이 가장 확실한 치료 방법이지만, 수술을 하면 해당 부위 근력이 많이 약해지고 흉터가 남습니다. 그래서 수술은 꼭 필요하거나 신경이 눌려서 증상이 심하거나 미용상의 이유로 반드시 해야 하는 경우에 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네 설명을 잘 들으셨네요 재발이 빈번합니다 따라서 치료는 과사용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보호대 같은 것이 있으면 착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통증이 없는 경우 대개 보존적으로 치료합니다. 손을 많이 쓰지 않아야 합니다.

      혹이 크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주사로 결절종 내의 관절액을 주사로 뽑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 주머니가 남아 있으므로 결절종이 재발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 방법이 통하지 않거나 통증이 심한 경우 수술로 주머니와 원인인 관절막의 일부를 제거합니다.

      결절종 자체는 위험한 질환이 아니며 불편을 야기하는 경우도 적습니다. 따라서 치료하지 않고 관찰만 하기도 합니다. 간혹 결절종이 스스로 터져서 없어지기도 합니다.

    • 1. 결절종은 제거를 한 뒤에 재발을 하는 경우가 상당히 흔합니다.

      2. 양성 종물이기 때문에 커지지 않고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다면 그냥 두어도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