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태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다른건가요?
요즘 주식 경제를 공부하다보며누스테그플레이션이 올수도 있다고 하던데요 그럼 스테그플레이션의 개념은 정확히 무엇인지 알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소재남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 모두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동일하나 인플레이션은 수요측 인플레이션으로 경기 상승기에 발생하며 스태크플레이션은 비용 인상 등을 동반하여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동시에 일어나는 국면시 발생하는 것입니다.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가 침체됨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하며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단순히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네 서로 다른 용어입니다. 스테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물가상승과 경기 침체가 동시에 오는 것인데 최악의 국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미국이 물가 상승 억제를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스테그플레이션을 막고자 함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높은 수준의 실업률과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물가가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인플레이션(inflation)은 물가 상승입니다. 자산, 재화 및 서비스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높게 올라가는 것을 말합니다
이에 비해 스테그플레이션이란 물가는 지속적으로 높게 올라가는데 경기는 침체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보통은 경기가 좋을 때 물가가 상승하는데 경기가 안 좋으면서 물가가 상승하는 상황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대책을 마련하기도 힘듭니다
인플레이션은 경제가 성장하면서 물가가 높아지는 자연스런 현상인데 반해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성장은 되지 않는데 물가만 상승하는 경제학에서 말하는 최악의 경제 상황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는 다른 경제 현상입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상승하고 구매력이 하락하는 경제 상황을 가리키는 반면,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은 경기가 좋아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경기가 좋지 않는데도 물가가 상승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스테그플레이션이라 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의 확장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Stagnation + inflation의 합성어 입니다. 즉,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같이 오는 최악의 경제 현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역사적으로 딱 한번 70년말~80년초에 발생했으며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어떠한 경제 정책도 무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