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파라오
파라오23.03.09

물류, 무역, 통상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물류랑 무역이랑 통상의 차이점이 뭔가요? 무역이랑 통통상은 대충 무역에 정치적인 걸 더한데 통상이라고 알하는거 같은데... 궁금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일단 무역과 통상의 개념은 비슷합니다만, 통상이 조금 더 넓은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무역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매매하는 것을 의미하고, 통상은 단순한 상품, 서비스 매매뿐 아니라 지적재산권, 제도 등을 포함한 개념입니다.

    물류는 원래 물적유통의 줄임말이었으나 그 의미가 확장되어 현재는 국내ㆍ외적으로 생산과 소비를 연결하는 물리적 경제활동으로 구체적으로 운송ㆍ보관ㆍ하역 등과 이에 부가되어 가치를 창출하는 가공(포장, 조립 등)ㆍ정보활동 등을 의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국토교통부의 설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molit.go.kr/USR/policyData/m_34681/dtl.jsp?search=&srch_dept_nm=&srch_dept_id=&srch_usr_nm=N&srch_usr_titl=N&srch_usr_ctnt=N&search_regdate_s=2013-04-18&search_regdate_e=2014-04-18&psize=10&s_category=p_sec_5&p_category=&lcmspage=1&id=73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물류란 물류정책기본법에 따르면 물류란 재화가 공급자로부터 조달ㆍ생산되어 수요자에게 전달되거나 소비자로부터 회수되어 폐기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운송ㆍ보관ㆍ하역 과 이에 부가되어 가치를 창출하는 가공ㆍ조립ㆍ분류ㆍ수리ㆍ포장ㆍ상표부착ㆍ판매ㆍ정보통신 등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물류는 물건의 흐름으로, 물건을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이동시키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무역이란 지방과 지방, 나라와 나라 사이에 서로 물건(상품)을 사고파는 일을 말하며, 보통 재화를 교환하는 것(상품무역)을 무역이라고 볼 수 있으며, 광의의 의미로 재화 외에 용역, 기술, 자본 등을 교환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통상은 무역과 비슷한 개념으로, 무역은 나라간·지역간의 교환을 포함하는 개념인 반면, 통상은 주로 나라간의 교환만을 한정하는 개념입니다. 즉, 무역보다 한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통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각각의 사전적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물류는 생산부터 소비자까지 물품의 모든 이동 단계를 포괄하는 것입니다.

    무역과 통상을 헷갈릴 수도 있는데 간단히 말하면 무역과 통상은 비슷한 개념입니다. 다만, 무역은 재화의 교역을 의미하며 통상은 그러한 무역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물류

      재화가 공급자로부터 조달ㆍ생산되어 수요자에게 전달되거나 소비자로부터 회수되어 폐기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운송ㆍ보관ㆍ하역 등과 이에 부가되어 가치를 창출하는 가공ㆍ조립ㆍ분류ㆍ수리ㆍ포장ㆍ상표부착ㆍ판매ㆍ정보통신 등

    • 무역

      교역, 통상으로 재화와 서비스의 자발적인 교환

    • 통상

      국가 간에 상(商)을 통(通)하게 하는 것, 통상은 국가 간 상거래에 대한 제약요인을 완화해 가는 과정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물류는 상품의 운송, 보관, 포장, 배송 등과 같은 물적인 흐름과 관련된 활동을 말합니다. 즉, 상품이 생산되어 출고되는 과정에서 물리적인 움직임을 담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류는 주로 생산자나 유통업체, 물류업체 등이 담당하며, 효율적인 물류 관리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반면, 무역은 국가간 또는 기업간의 상호거래 활동을 의미합니다. 즉,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을 수출하거나, 해외에서 생산된 상품을 수입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따라서 무역은 경제적, 정치적인 영향력을 가지며, 정치, 법률, 통화 등 다양한 분야의 이슈가 끼어들기도 합니다.

    통상은 이 무역 활동에서 다양한 정치, 법률, 환경적인 이슈를 고려하여 상호간의 협상과 교류를 진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통상은 무역의 일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통상은 국가간의 무역 거래에서 정치적인 협상 과정을 통해 수출입 관세, 장벽, 환율 등의 경제적 이슈를 해결하거나, 규제와 협약 등의 법적 이슈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요약하자면, 물류는 상품의 물리적인 흐름과 관련된 활동, 무역은 국가간 또는 기업간의 상호거래 활동, 그리고 통상은 이 무역 활동에서 다양한 정치, 법률, 환경적인 이슈를 고려하여 상호간의 협상과 교류를 진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시면 이해가 조금 쉬우실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물류(物流)는 물건 물(物)자에 흐를 류(流)를 결합한 단어로 물건의 흐름을 의미합니다. 원자재, 부자재를 구매하여 제품의 생산 공정에 투입하고, 이로 인해 생산된 완제품을 출하, 유통하여 최종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수송·하역·포장·보관 등 전 과정을 말합니다.

    무역(貿易)은 국가 간 또는 지방 간에 물건을 사거나 파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역의 범위에는 물건(제품, 상품) 뿐만 아니라 기술과 서비스 분야 및 자본의 이동까지 포함합니다.

    통상(通商)은 무역과 유사하게 국가 간에 서로 물품 등을 사고 파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통상은 무역에 비해 국가 간의 교환을 의미하는 개념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먼저 사전적인 정의에 대하여 설명을 드리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물류”란 재화가 공급자로부터 조달·생산되어 수요자에게 전달되거나 소비자로부터 회수되어 폐기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운송·보관·하역 등과 이에 부가되어 가치를 창출하는 가공·조립·분류·수리·포장·상표부착·판매·정보통신 등을 말한다. (물류정책기본법 제 2조)

    "무역"이란 다음에 해당하는 것의 수출과 수입을 말합니다(「대외무역법」 제2조제1호, 「대외무역법 시행령」 제3조 제4조).

    1. 물품

    2. 경영상담업 등 업종의 사업을 영위하는 자가 제공하는 용역

    3. 국내의 법령 또는 대한민국이 당사자인 조약에 따라 보호되는 특허권 등 권리의 양도, 전용실시권(專用實施權)의 설정, 통상실시권(通常實施權)의 허락

    4. 소프트웨어 등 전자적 형태의 무체물(無體物)

    "국제통상" 은, 국가 간에 상(商)을 통(通)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부분을 보았을때 무역 주에서 물품을 이동하는 것을 물류라고 하며, 통상적으로 무역이란 물품의 교역을 뜻합니다. 그리고 통상의 경우에는 무역에 용역, 권리의 양도, 전자적무체물의 거래 등도 포함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최근에는 무역과 통상에 대한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물품의 거래에는 무역을 그 밖의 것들의 거래에는 통상이라는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