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곶감 표면에 흰색깔을 띤 백분은 뭔가요?

단감과 달리 떪은 감은 그냥 먹지 못하고 숙성 또는 가공하여 홍시, 반건시, 연시, 곶감으로 만들어 먹는데,

곶감 표면에 보면 흰색깔을 띤 백분이 묻어있잖아요... 그것이 무엇인가요? 어떠한 효능이 있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생긴가마우지31
      잘생긴가마우지31

      안녕하세요. 굳건한후투티38입니다.

      하얀 곶감의 하얀가루는 과당입니다. 하얀 가루가 많이 묻어있는 곶감일수록 더 달고 쫄깃하며 맛있다고 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Olivia luve입니다.

      곶감의 표면에 묻은 흰색 가루는 과당,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당분가루입니다. 먹어도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1892리버풀의심장스티븐제라드입니다.

      곶감표면에 흰 가루는

      포도당성분을된 당분가루입니다

      먹어도 무해합니다

    • 안녕하세요. 푸른바다에서온작은소쩍새258입니다.

      곶감 만들어 놓으면 수분이 증발하고 나면 포도당과 과당이 밖으로 나와서 고체형태로 된것으로 먹어도 되는것입니다 몸에는 무해합니다^^

    • 안녕하세요. 활발한고라니188입니다.

      가루의 정체는 바로 감 과육의 당분이 온도변화를 거치면서 수분과 함께 외부로 배어 나오는 과정에서 생깁니다.

      수분과 함께 배어나온 당성분 중에서 수분은 증발하고 녹아있던 당만 남으니까 흰색 결정체를 남길수 밖에요. 이 흰가루의 주성분은 포도당과 과당이구요. 실온보관하면 흰가루가 더 많이 생기겠죠. 반대로 곶감을 건조한 후 급냉시키면 당을 포함하고 있던 수분이 얼어버리니까 이동하지 못하고 갖혀버리게 되서 흰가루는 생기지 않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