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냉철한메뚜기235
냉철한메뚜기235

현금성 항목에 관한 질문입니다! 자세히 알려주세요!

공부를 하다 보니 현금성 항목에 왜 배당금 지급 통지표랑 국공채 이자표가 현금성 항목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만기에 따라 달라지는 항목들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양도성 예금증서, 환매체, 국공채, 상환주 우선주 기타 등등이

취득 당시 3개월 이내에 있으면 현금성 항목이라는데 왜 그러한지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금 지급과 국공채 이자지급서는 실제 지급이 확정된 사항이며 이는 단기3개월안에 확정 지급사항이므로 현금성자산으로 취급합니다

    또한 만기가긴 채권은 예를들어 적금이 두달이내 만기가 오면 그만큼 원금이 들어오는 확정사항이므로 3개월이내 만기는 통상적으로 단기로 보기 때문에 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배당금 지급과 국공채 이자표가 현금성 항목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언급하신 그대로 배당금 지급 통지표와 국공채 이자표는 현금성 항목이며

    이는 즉시 현금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형금성 항목으로 분류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이거 헷갈리죠. 현금성 항목이라고 하면 결국 당장 현금처럼 쓸 수 있는 거냐 아니냐를 보는 겁니다. 배당금 지급 통지표나 국공채 이자표는 이미 확정돼서 받을 돈이라 현금이랑 큰 차이가 없다고 봅니다. 아직 통장에 꽂히진 않았지만 받을 게 정해져 있으니 사실상 현금 취급을 하는 거죠. 그리고 만기 3개월 이내 조건이 붙는 건 유동성 때문입니다. 양도성 예금증서나 환매체 같은 건 만기가 길면 시장 변동에 따라 현금화할 때 손실이 생길 수 있는데 3개월 이내라면 그 위험이 거의 없다고 보는 겁니다. 그래서 회계에서는 이런 걸 현금성으로 묶어버립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성 자산이라고 하는 것은 단기간에 이를 현금할 수 잇는 모든 자산을 의미하며, 이는 언제든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가격의 변동성이 낮아 예측이 가능한 상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배당금의 경우에는 그 배당금 정도가 어떻게 흐를것인지 대략적인 예측이 된다는점, 그리고 단기간에 현금화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한 이유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단기적인 투자에는 그 변동성이 낮다는 점도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성 자산이란 말그대로 현금화 시킬 수 있는 자산 항목인데요. 배당금 지급 통지표는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하기 위해 현금화 시켜놓은 항목이기 때문에 그렇고, 국공채 이자표 역시 국공채 투자를 통해 받게되는 현금성 이자이기 때문에 현금성자산이 맞습니다.

    양도성 예금증서, 환매체, 국공채, 상환주 우선주는 만기가 많이 남아있으면 당장 현금화가 어려워서 현금성 자산이 아니지만, 3개월 이내라면 곧 현금화 되기 때문에 현금성 자산으로 취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