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할 때, 어떻게 감정을 알아채고 도와줘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두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아이 둘다 감정표현이 풍부한 편은 아닌데요..
아이들의 감정을 알아채는게 너무 어려운거 같아요.
어떻게 감정을 알고 도와줘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아이가 감정조절을 잘 하지 못할 때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아이의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어야 합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하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울지 말고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안녕하세요! 두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도와주는 일이 정말 중요하고, 또 부모에게는 쉽지 않은 일이죠. 특히 감정 표현이 풍부하지 않은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부모님이 더 신경을 써야 합니다. 아이가 어떤 감정을 표현하지 않더라도, 아이가 느끼는 감정에 대해 공감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슬픈 표정을 짓고 있을 때, "너무 속상한가 봐, 무슨 일이 있었니?"라며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이해해 주세요. 공감을 표현하면 아이가 감정을 표현하는 데 점차 편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할 때, 부모로서 중요한 것은 감정의 신호를 잘 읽고, 아이에게 안전하고 따뜻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아이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는 자세를 보이는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됩니다. 조금씩 아이와 대화를 나누고, 감정을 표현하는 연습을 하면서 아이가 점차 감정을 잘 다룰 수 있게 도와주세요! 아이가 감정을 잘 표현하지못할때에는 이렇게 알아채리고 도와주시는 게 좋을 거에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이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이유는
아이의 기질적인 원인이 가장 클 것입니다.
아이들의 기질이 내성적이고, 소심하고, 소극적이고, 부끄러움이 많고, 쑥스러움이 많고, 조용하고, 낯가람이 심한 성향이 짙다 라고 한다면 이러한 기질을 가진 아이들은 사람들과 소통을 하는 것부터 시작을 해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것을 어려워 합니다.
그렇기에 아이들에게 자신의 감정을 꾹꾹 마음에 담아두긴 보다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어느 정도 표현해야 상대방이 알아 차릴 수 있다 라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주고, 아이들과 역할극을 하면서 상황에 맞는 행동.언어,제스처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더나아가 부모님은 아이들의 기분을 살피고 "오늘 기분은 어때" 라고 물어보면서 아이들과 대화로 소통을 하면서 아이들의 감정을 조금씩 알아가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아이의 몸짓, 표정, 행동 변화 등을 유심히 살펴보면서 파악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편안한 대화를 이끌어 가면서, 이해와 공감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알아차리기 위해서는 비언어적 신호를 잘 살펴봐야 합니다. 몸짓, 표정, 목소리 톤 등을 관찰하도록 합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감정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좋다'라는 감정에도 세부적으로는 '기쁘다, 설레다, 기대되다, 행복하다, 만족스럽다' 등등이 있고 '싫다'라는 감정에도 '긴장되다, 부담스럽다, 성가시다, 귀찮다' 등이 있듯이 상황마다 느끼는 감정들을 아이 스스로 언어화 할 수 있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들이 어떤 감정을 드러낼 때 그것을 바로 파악해서 언어로 표현해주면 되는데요, 이러한 감정 언어들은 인터넷이나 육아서 등에 잘 나와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아이들이 자신의 감정을 잘 드러내고 표현하게 하기 위해서는 감정을 잘 이해해주고 수용해주는 환경이 중요합니다. 아이들이 부정적인 감정을 드러내더라도 그것을 인정해주고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볼 수 있게 하고 해결이 안되는 일이라면 빨리 부정적인 감정을 흘려보낼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책을 읽어 주면서 등장인물의 감정 상태에 대해서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역할 놀이를 하면서 다양한 역할의 감정을 이해해 보세요
하루에 있었던 일들을 글이나 그림을 통해 일기를 쓰는 것도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